回考版/새천년산행기록(2000년~2006년)

함안 광려산 투구봉

靑谷 2009. 3. 7. 09:28

함안 광려산 투구봉

일자; 2003년 11월 17일(월) 날씨; 맑음

 

『나홀로 등산』

 

1. 산명; 투구봉△725m~광려산△720.2m

2. 위치; 경상남도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내곡」마을

 

3. 출발

♤08:40 자택(쏘나타승용차)→만덕터널→09:25 북부산T.G→남해고속도로→10:00 함안I.C→함안 가야읍→함안 함안면→함안 여항→10:20 여항 내곡리「내곡」마을 도착.

♍차량이동시간; 1시간40분

♎차량이동거리; 90㎞

 

 

☞ 지도 사진 클릭확대

▼ 광려산 투구봉 산행지도

 

 

4. 산행코스: 원점회귀

♧10:30「내곡」마을취수탱크(저수지)→10:45 산길진입→11:00 임도→산길 오름→11:20 능선→능선→Ⓗ장→바위전망대→11:45 ▲620m봉(10분)→700m봉→12:20 투구봉(상투봉)△725m(점심30분)→능선→13:35 광려산△720.2m→낙동정맥 능선→13:40 갈림길→지능선→내곡저수지→농가→14:30「내곡」마을

♏산행시간; 4시간00분

 

 

 

 ▼ 상투봉 / 투구봉 --- 삿갓봉 / 광려산

 

 

▼ 함안 광려산 투구봉 들머리 여항면 내곡리 10지도 / 지도 우측 상단

 

 

▼ 함안 광려산 투구봉 지도 좌측 상단 10만지도

 

 

 

 

함안의 오지, 투구봉과 광려산(匡慮山)으로 찾아간다. 함안군 여항면과 마산시 내서읍에 걸친 광려산은 낙남정맥의 연봉으로 700곒급 능선이 어깨를 잇대고 있다. 정상을 중심으로 동으로는 마산의 대산, 무학산으로 뻗어가고, 서쪽에는 여항산 서북산이 곧추서 있다.

 

산행코스는 원점회귀로 함안군 여항면 내곡마을~다리삼거리~취수탱크~능선~헬기장~바위전망대~700m~투구봉(상투봉·725m)~광려산~다리삼거리~내곡마을로 이어진다. 산행시간은 약 5시간.

 

버스에서 내리면 도로 너머 내곡마을 표지석이 보인다. 포장도로를 따라 내곡교를 건너면 마을로 들어간다. 가을걷이가 끝나 가는 들녘을 가로질러 20여분 가면 내곡동회관(경로당)이다. 하루 두 차례 들어오는 버스는 회관앞 공터에서 돌아나간다.

 

회관을 지나면 돌담길이 시작된다. 기왓장을 인 옛집이 많아 유달리 고풍스런 고샅길이다. 길섶 감나무에는 예쁘게 물든 주홍빛 홍시가 가을 햇살을 받고 있다. 저수지둑이 보일 즈음 삼거리를 만난다. ‘기도원나무 푯말을 지나 왼쪽 저수지길을 따른다. 오른쪽으로는 작은 시멘트 다리가 놓여 있다. 저수지로 올라서자마자 길이 꺾이는 지점에서 왼쪽으로 취수탱크가 보인다. 취수탱크와 포구나무 사이로 숲길이 나 있다. 이곳이 들머리다.

   

10m 오르면 무덤 2기가 보인다. 가운데로 가로지르면 반남 박씨묘. 무덤이 잇따라 나온다. 20여분 오르면 산허리를 가르는 임도에 닿는다. 임도에서 오른쪽으로 10m만 발걸음을 옮기자. 왼쪽 절개면으로 오르막길이 보인다. 절개면 높이가 2곒가량 되므로 오를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절개면에 올라서면 여주 이씨 무덤이 기다리고 있다. 무덤을 지나면서 본격적으로 치받이길이 시작된다.

 

·완경사가 이어지며 20여분 올라간다. 비탈이 끝나면 길 좋은 능선이 있다. 홍송이 좌우로 아름드리 자라고 있다. 15분 뒤 폐헬기장, 무덤을 지나면 삼거리다. 이 갈래길이 유의해야 할 지점이다. 반드시 옅은 오른쪽 길로 비틀어야 한다.

 

메마른 산딸기 가지가 지독하다. 팔뚝과 무릎에 생채기가 제법 날만한 길이 10여분 이어진다. 산딸기 군락지를 헤쳐나오면 길은 다시 좋아진다. 잡목을 지나 50m만 가면 큰 바위가 눈에 들어온다. 바위를 비스듬히 돌아 나무등걸을 잡고 오른다. 바위 위에는 탁 트인 전망이 펼쳐진다. 초입이 된 내곡마을의 전경이 한눈에 들어오는 곳이다.

 

바위전망대에서 되돌아 나와 산길을 잇는다. 돌무더기가 있는 봉우리를 지나면 능선이 오르락내리락 요동을 친다. 알게 모르게 620m봉과 700m봉을 넘는다. 두번째 바위봉우리를 만난 뒤 100m 더 나아가면 투구봉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상투봉으로 부르기도 한다. 투구봉은 삼거리다. 마산 내서읍 삼계마을에서 올라오는 길이 있어 산악회 리본이 눈에 띈다. 구절초가 만개한 투구봉에서는 동쪽으로는 마산항이, 남쪽으로는 광려산이 아련하게 보인다.

 

갈 길은 남쪽 광려산이다. 지금까지 왔던 진행 방향으로는 오른쪽 내리막. 50m만 내려오면 산죽 천지다. 산죽밭을 지나면 뚜렷한 외길이 굽이굽이 이어진다. 25분 쯤 가면 삼거리가 나온다. 계속 직진해 10여분만 오르면 광려산 정상이다.

 

광려산 정상에서는 마산항이 손에 잡힐 듯 다가온다. 정상은 삼거리다. 마산항이 보이는 왼쪽으로 꺾으면 대산을 지나 무학산으로 이어진다. 하산은 오른쪽이다. 이 길은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해 김해 분성산으로 이어지는 낙남정맥.

 

5분 정도 내려가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오른쪽으로 꺾어 낙남정맥을 버리고 하산을 재촉한다. 완만하던 내리막이 시간이 지날수록 급해진다. 40여분 가량 내려가면 산길이 희미해진다. 오른쪽 비탈로 떨어진다는 생각으로 발을 내딛으면 산허리를 가로지르는 산길과 만날 수 있다. 5분여 더 내려가면 무덤 3기가 있다. 무덤을 가로질러도 좋고, 무덤 오른쪽으로 비껴 내려가도 좋다. 50여곒 아래에는 포장도로가 있다. 산행 들머리였던 취수탱크와 포구나무가 저수지 너머로 보인다. 도로에서 왼쪽으로 독립가옥을 지나 나간다. 삼거리가 있던 시멘트 다리까지 5분이면 충분하다.

 

 

 

 

 ▼ 함안 광려산 투구봉 능선길

 

 

 

 

 

5. 귀로;

♧14:35「내곡」마을→함안 여항→함안 함안면→함안 가야읍→15:00 함안I.C→남해고속도로→북부산T.G→만덕터널→16:25 자택 도착

♐차량이동시간; 1시간50분

♑차량왕복이동거리; 180㎞

 

6. 교통 및 인원

♣자가 승용차로 나홀로

 

7. 참고자료

1)10만도로교통지도,

2)국제신문 “다시찾은 근교산”

 

8. 경비

♣도로비5,900원 휘발유소모180㎞ 22,000원

♒계27 900원

 

9. 특기사항

1)오늘 가벼운 가까운 산행지를 선택하여 산행했다.

2)대산~광려산 종주(낙동정맥)은 몇해전 산행하였다.

3)오늘은 “소나타” 승용차로 이용했다.

 

♓작성자; *******************************469-03-40**************************** 주유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