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1 (2010년~2019년)/강원도

양구 대암산 용늪 제4땅굴 을지전망대

靑谷 2013. 10. 13. 16:14

양구 대암산(大巖山) 용늪 제4땅굴 을지전망대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일자; 2013년 10월 11일(금)~12일(토) 날씨; 맑음

 

1. 산명; 용늪~대암산(大巖山)△1304m 제4땅굴 을지전망대

2. 위치; 강원도 양구군 동면 팔랑리 군사도로

3. 인원; 울타리산악회 35명

 

4. 차량이동(갈 때);

♤11일(금)22:10 도시철도 동래역 앞<산악회관광버스>→만덕터널→10:53 대동T.G→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동대구J.C→경부고속도로→금호J.C→중앙고속도로(금호-춘천)→12일(토)00시50분 안동휴게소(10분)→죽령터널→홍천T.G→홍천읍→홍천 화촌→홍천 두촌→인제 남면→03:45 합강휴게소(35분)→인제읍→04:50 인제 서화면 서흥1(아침식사 50분 용늪 해설사 합류)→인제 서화→양구 해안→양구 동면 팔랑리→453번 지방도에서 군사도로 진입→군사도로→06:30 군사도로 공터 도착

♤차량이동시간; 8시간20분

♤차량이동거리; 약 490km

 

 

▼ 양구 을지전망대 제4땅굴 대암산 용늪 트랙지도 / 클릭확대

▼ 양구 대암산 용늪 트랙지도 / 클릭확대

 

 

5. 산행코스;

♤06:35 군사도로 공터(양구 해안면 팔랑리 해발840m)→군사도로→07:20 군 용늪출입통제소(15분 도솔지맥)→용늪길→07:40 작은용늪(해설 07)→용늪길→07:58 큰용늪 전망대(해설 05)→용늪길→07:46 작은용늪출입금지 안내판→08:07 용늪감시초소(삼거리)→좌측 소로길→08:15 용늪출입금지 안내판→능선사면길→08:35 삼거리(대암산 정상 다녀옴)→능선 암릉길→08:48 대암산(大巖山)1304m(암봉→능선암릉길→08:56 다시 삼거리→09:15 능선안부→용늪골→09:45 갈림길(좌측 용늪 가는길2.5km표지판)→09:50 개울건넘→묵은임도길→테크나무다리→10:12 포장임도(05분 용늪6.8km이정표)→10:20 임도변(용늪길) 주차장소(인제 서화면 서흥리) 도착

♤산행시간; 3시간45분

♤산행거리; 10.0km

 

 

※ 양구 제4땅굴 을지전망대 관람

♤11:45 임도변주차장소(인제 서화면 서흥리 용늪길)→12:05 서흥1리(서울쉼터식당 점심40분)→인제 서화→13:07 양구전쟁기념관(제4땅굴.을지전망대 관람 매표소)→13:25 4땅굴 관람(40)→14:30 을지전망대 관람(35)

♤차량이동거리; 약 130km

 

6. 트랙

2013-10-12 양구 대암산 용늪 제4땅굴 을지전망대(10.0km).gpx
0.51MB
인제 대암산 용늪(원점)20130526.gpx
0.07MB
인제 대암산 용늪081003.gpx
0.19MB

 

 

 

 

▼ 양구 대암산 용늪 산행지도

 

 

▼ 양구 대암산 용늪 제4땅굴 을지전망대 10만 지도 / 클릭확대

 

 

 

 

▶ 대암산(大巖山 1,316m)은 강원도 양구군 동면, 해안면, 남면과 인제군 인제읍, 서화면, 북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정상부근의 고층습원(高層濕原)으로 잘 알려진 명산으로 토심이 두꺼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독 정상부에 거대한 암릉(巖稜)과 암괴(巖塊)가 솟아 있다. 6·25 때 치열한 격전 끝에 수복된 명산으로 당시 격전지로 유명한 펀치볼이라 불리는 분지를 둘러싸고 있는 산 가운데 하나로서 1759년(영조 35) 기묘장적(己卯帳籍)에 대암산(擡巖山)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대암산은 식물 생태학적인 면에서 특이한 경관을 이루고 있다. 산정 부근에 큰 용늪과 작은 용늪이라 불리는 고층습원이 있는데, 이는 고산의 한랭한 기후와 보수력이 큰 지질적·지형적 조건 때문에 물이끼류가 주로 번식하여서 형성된 것이다. 습원의 크기는 동서 약 150m, 남북 약 100m 내외로 약 3.15ha(9,200평)규모이며, 서북에서 동남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경사가 5˚~10˚내외이고 습원은 비교적 평탄하게 동남단에 1~2m 높이로 뚝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 1966년 DMZ 학술조사단에 의해 비로용담, 칼잎용담, 끈끈이주걱, 물이끼, 통발 등 163종의 식물과 참밀드리메뚜기, 애소금쟁이, 홍도리침노린재 등의 희귀곤충이 서식하고 있는 곳으로 휴전 이후 인위적인 훼손이 없어 각종의 희귀생물과 원시림에 가까운 숲이 잘 보존되어 있다. 대암산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종류는 총 59과 123종으로 그 중 고층습원의 특유종이 19종 미기록종 15종이 알려져 있어 생물의 보고이며 1973.7.10 인근의 대우산(大愚山)과 함께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246호)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 특히 대암산의 용늪(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 170번지)은 1997년 7월 28일 국내 처음으로 람사르협약 적용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람사르협약(Ramsar Convention)은 세계적으로 중요한 습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1971년 채택된 습지보전 국제협약을 일컬으며 여기에 국내 최초로 등재되었다(우포늪은 국내 2번째로 지정). 이후 1989년 정밀 조사된 바에 따르면 용늪의 식물 종수는 191종에 이른다. 이곳은 비무장지대가 가까운 우리나라 중동부 고산지대에 해당하며 규모나 해발 높이 등으로 대암산 용늪은 신비스러울 정도로 희귀자연이 아닐 수 없다.


 ▶ 우리나라 최대 희귀생물자원의 보고이자 자연의 신비가 그대로 살아 있어 산림청 지정 100대 명산으로 지정되었으며, 그동안 철저하게 출입이 통제되었다가 인제군과 양구군이 국방부, 문화재청, 산림청, 환경부 등과 협의를 거쳐 63년 만인 2012년 5월부터 일반인에게 개방하였다. 1일 최대 탐방인원은 100명으로 인제군 50명, 양구군 50명이다. 사전 허가 절차 없이는 출입이 제한되는 조건부 개방으로 숲 해설사와 길 안내원을 의무적으로 대동해야 한다.

* 대암산 용늪 : 하늘로 올라가는 용이 이곳에서 쉬었다는 곳

1997년도에 람사르국제협약에 우리나라 1호로 등록, 2호 : 창령 우포늪, 3호 : 혹산도 장도습지

 

 

▼ 05시경 인제 서화면 서흥1리 울타리산악회에서 준비한 아침식사후 용늪해설사와 합류하여 05시40분 차량이동 양구 동면 팔랑리 453번 지방도에서 군사도로 차량진입후 06시30분 군사도로 공터 도착 06시35분 용늪해설사 설명후 산행시작

 

▼ 06시46분 군사도로에서 양구 동면 동이트는 모습

 

▼ 06시58분 대암산 용늪으로 가야할 군사도로

 

▼ 07시00분 군사도로의 절묘한 바위

 

▼ 07시04분 군사도로에서 도솔지맥 능선 모습

 

▼ 07시11분 군사도로 이동중 양구읍과 파르호

 

▼ 07시11분 대암산 능선과 우측 파르호

 

▼ 07시12분 군사도로에서 양구 동면

 

▼ 07시13분 군부대 통신탑

 

▼ 07시07분 軍부대 용늪 출입통제소 / 신분증.서약서 작성

 

▼ 07시40분 작은용늪과 대암산 모습

 

 

※ 군사보호구역, 천연보호구역 대암산

대암산(大岩山, 1,304m)은 민통선 내에 있는 산으로서 강원도 양구군 동면 팔랑리와 해안면 만대리, 그리고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와 월학리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도솔지맥에 속한다.

전형적인 육산임에도 불구하고 정상에 큰 암릉이 있어서 대암산(大岩山)이라 이름 붙여졌는데, 예전엔 1759년(영조 35) 기묘장적(己卯帳籍)에 대암산(擡巖山)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고 한다.   대암산 인근 북쪽에는 "펀치볼(Punch Bowl, 亥安盆地)"이라 불리는 곳이 있는데,  이곳은 1,100m 이상의 높은 산으로 둘러쌓인 둥그런 타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안에는 하나의 면(해안면) 전체가 들어가 있다.

 

한국전쟁 당시 외국의 종군 기자가 가칠봉에서 내려다 본 그곳 지형이 마치 펀치볼(화채그릇)처럼 생겼다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대암산 정상 일대는 한국에서는 드문 고층습원 지대를 이루는데, 남쪽의 큰용늪(大龍浦), 북쪽의 작은용늪(小龍浦)으로 구분된다. 양구군 대우산과 함께 천연기념물 제246호인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1997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람사(RAMSAR, 습지보전 관련 국제협약)에 등록되었고, 1999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용늪 지대는 6·25전쟁 이후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어 수천 년의 생태계 변화를 간직하고 있는데, 조름나물·비로용담·칼잎용담·끈끈이주걱·물이끼·북통발·금강초롱꽃·제비동자꽃·기생꽃 등 총 190종의 희귀식물과 벼메뚜기·참밀드리 메뚜기·애소금쟁이 등 희귀곤충들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암산 용늪 : 하늘로 올라가는 용이 이곳에서 쉬었다는 곳

♤1997년도에 람사르국제협약에 우리나라 1호로 등록, 2호 : 창령 우포늪, 3호 : 혹산도 장도습지

 

 

 

▼ 07시43분 대암산 용늪보전.관리 안내판 / 산림청 환경청 군부대 인제군 양구군 5개 공공기관

 

▼ 07시43분 용늪길 / 빗물에 흙이 늪으로 유입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넓은돌을 깔았다는 해설사 말씀이다

▼ 07시46분 작은용늪 출입금지 안내문 

 

▼ 07시46분 작은용늪과 출입문

 

▼ 07시55분 작은용늪에서 큰용늪으로 이동

 

▼ 07시57분 큰용늪 데크전망대

 

▼ 07시58분 큰용늪

 

▼ 08시01분 당겨본 큰용늪

 

▼ 08시07분 용늪 감시초소에서 좌측으로 간다.

 

▼ 08시08분 큰용늪안내판에서 지나온 용늪길

 

▼ 08시08분 큰용늪 출입금지 안내판

▼ 08시09분 용늪 감시카메라

 

 

▼ 08시15분 큰용늪 출입제한 안내판

 

▼ 08시28분 큰용늪 출입문 앞을 지나서 대암산 정상으로 가는 능선사면길

 

▼ 08시29분 대암산가는길 좌측 펀치볼(양구 해안면) 모습

 

▼ 08시35분 삼거리 / 여기서 대암산 정상 다녀온다

 

▼ 08시35분 대암산 정상 다녀와서 하산할 용늪골 모습

 

▼ 08시36분 삼거리에서 대암산 정상 가는길은 암릉길이다 / 주의

 

▼ 08시41분 대암산 암릉길에서 지나온 통신탑과 용늪 모습

 

▼ 대암산 암릉에서 펀치볼(양구 해안면) 을지전망대 모습

 

▼ 08시43분 대암산 암릉 바위틈새 구간

 

▼ 08시48분 산행시작 약 2시간10여분후 대암산 정상에 선다

 

▼ 08시49분 대암산 정상에서 인제 방향으로 흘러가는 웅장한능선과 계곡

 

▼ 08시49분 대암산 정상에서 지나온 용늪과 군부대

 

▼ 08시51분 대암산 정상에서 ..

 

▼ 08시52분 대암산 정상에서 삼거리로 되돌아가면서 지나온 용늪과 군부대

 

▼ 09시06분 대암산의 능선과 계곡

 

▼ 08시56분 대암산 정상에서 빽하여 다시 삼거리 지나 09시09분 능선사면길에서 뒤돌아본 대암산 모습

 

▼ 09시10분 용늪골로 가는 능선 사면길

 

▼ 09시16분 능선안부에서 왼쪽 용늪골로 진입한다

 

▼ 09시36분 용늪골 고사목 비경 

 

▼ 09시40분 용늪골

 

▼ 09시45분 용늪골삼거리 / 용늪골에서 원점회귀하는 지점인것 같다 ?

  

▼ 09시45분 용늪골삼거리 안내이정표

 

▼ 09시46분 용늪골 계류

▼ 09시49분 용늪골 

 

▼ 09시56분 용늪골 개울건너 조금가면 묵은임도를 만난다.

 

▼ 09시50분쯤 개울건너 약20여분후 묵은임도길 지나서 갈림길 지난후 10시11분에 만나는 나무다리

 

▼ 10시12분 나무다리를 올라서면 바로 포장임도 용늪길이다 / 이정표에는 용늪6.8km

 

▼ 10시12분 포장임도 이정표

 

▼ 10시20분 이정표지나서 1분거리 산악회버스주차장소 임도에서 산행거리 10.0km 3시간45분 산행을 종료한다 / 이후 인제 서화면 서흥1리 서울쉼터식당에서 점심후 차량이동 양구 제땅굴과 을지전망대를 관람한다

 

 

 

-------------------------------------------------------------------------------------------------------------

 

 

 

▼ 양구 제4땅굴 을지전망대 트랙지도

 

 

※ 13시25분 부터 40분간 양구 제4땅굴 관람한다 / 제4땅굴 출입구 사진찰영 제한구역

 

▼ 13시07분 양구 전쟁기념관 제4땅굴주차장

▼ 13시12분 양구 전쟁기념관 야외 전시용 무기 제4땅굴주차장 

▼ 13시28분 제4땅굴 입구 

▼ 13시45분 양구 전쟁기념관 야외 전시용 군용기 제4땅굴주차장

 

▼ 13시54분 제4땅굴주차장에서 남방한계선 능선

 

 

 

※  14시30분 부터 35분간 을지전망대 관람한다 / 펀치볼(양구군 해안면) 모습 사진찰영 제한구역

 

▼ 14시45분 양구 을지전망대에서 펀치볼 풍경

▼ 14시46분 을지전망대 포토죤 

 

▼ 14시47분 을지전망대에서 양구군 해안면(한국전쟁때 외국기자가 가칠봉에서 내려다보고 펀치볼 같다고 해서 아직도 그용어를 쓴다. ??!!)과 대암산 모습 

 

▼ 14시48분 을지전망대에서 펀치볼과 대암산 모습

 

▼ 14시48분 을지전망대에서 군사도로와 펀치볼 모습

 

▼ 15시05분  양구 을지전망대주차장에서 부산으로 귀가길 오른다.

 

 

 

 

▼ 양구 대암산 생태 탐방로 안내도 / 클릭확대

▼ 양구 대암산 지도

 

 

▼ 양구 대암산 제4땅굴 을지전망대 5만 지도 / 클릭확대

 

 

  

7. 차량이동(올 때);

♤15:05 을지전망대(양구 해안면 후리)→15:20 양구전쟁기념관→인제 서화→인제 서화면 서흥리→인제 북면 원통리→인제읍→인제 남면→홍천 두촌→홍천 화촌→16:30 동홍천T.G→춘천동홍천고속도로→춘천J.C→중앙고속도로(금호-춘천)→17:10 원주휴게소(10분)→죽령터널→금호J.C→경부고속도로→동대구J.C→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20:20 청도휴게소(10분)→20:58 대동T.G→만덕터널→21:25 도시철도 동래역 앞 도착

♤차량이동시간; 6시간20분

♤차량왕복이동거리; 약 1,100km<차량이동거리 약 480km>

 

9.특기사항

 

8. 경비;

♧회비 60,000원

 

10. 작성일자; 2013년10월13일(일) 10시00분 자택에서.........

11. 작성자; ********************1006-13-88******************* 도시속의 野人 海廣

 

2013-10-12 양구 대암산 용늪 제4땅굴 을지전망대 트랙(10.0km).zip
0.12MB
2013-10-12 양구 대암산 용늪 제4땅굴 을지전망대(10.0km).zip
0.12MB

'산행기록1 (2010년~2019년) > 강원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천 공작산 공작폭포 약수봉 수타사  (0) 2013.10.21
평창 계방산 노동계곡  (0) 2013.10.21
영월 잣봉 어라연  (0) 2013.08.29
공란2)  (0) 2013.08.19
화천 용화산 춘천 오봉산 청평사  (0) 2013.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