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모악산(母岳山) 김제 금산사(金山寺)
일자; 2019년 2월 17일(일) 날씨; 맑음
1. 산명; 모악산(母岳山)△793.5m~북봉△730m~매봉△642m~금동계곡~卍금산사(金山寺)
2. 위치;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모악산관광단지주차장
3. 인원; 공룡산악회 30명
4. 차량이동(갈 때);
♤07:10 도시철도 교대역 앞<산악회관광버스>→만덕터널→07:43 북부산T.G→남해고속도로(순천-부산)→진주J.C→통영대전고속도로→08:54 산청휴게소(10분)→09:24 함양J.C→광주대구고속도로→09:54 남원J.C→순천완주고속도로→10:20 상관T.G→완주 상관→구이교차로→10:35 모악산관광단지주차장 도착
♤차량이동시간; 3시간25분
♤차량이동거리; 약 274km
▼ 완주 모악산 김제 금산사 트랙지도 / 클릭확대
5. 산행코스;
♤10:45 모악산광광단지주차장→10:53 상학능선갈림길→상학능선→11:08 송학사갈림길→11:21 대원사갈림길→11:35 비단길갈림길→11:39 조망→11:44 ×559.8봉(무덤)→11:50 수왕사갈림길→11:55 학바위→11:58 중인동갈림길→12:06 무제봉(688)→12:25 북봉갈림길→12:28 남봉갈림길→12:30 모악산(母岳山)△793.5m(10분) 삑→12:41 북봉갈림길→12:46 정상삼거리→12:50 북봉△730m(헬기장)→12:55 중인동갈림길→13:14 안부사거리→13:18 매봉△642m→13:25 ×563.9봉(헬기장)→도통사길→13:50 뽕밭(정자)→모악산마실길→14:05 금동계곡(비장골)→14:27 연리지→14:29 금동계곡입구→14:33 해덕왕사탑비/부도전→14:43 卍금산사(金山寺.20분)→15:09 일주문→15:19 금산사주차장(김제 금산면 금산리) 도착
♤산행시간; 4시간34분
♤산행거리; 13.8km<GpsMaps 13.1km>
6. 트랙
▼ 완주 모악산 김제 금산사 오룩스 맵 / 클릭확대
▼ 완주 모악산 김제 금산사 10만 지도 / 클릭확대
모악산(母岳山·794m). 전북 김제와 완주 그리고 천년고도 전주 등 3개 시·군을 구분짓는 이른바 '삼시봉(參市峰)'이다.
다소 독특한 이 이름은 정상 남쪽 아래 천길 낭떠러지를 이루며 길게 솟은 쉰길바위에서 유래한다. 그 모습이 마치 어머니가 아이에게 젖을 물리고 있는 형상이기 때문이다. '엄뫼', 곧 '어미산'이란 우리말을 한자로 바꾼 셈이다.
북쪽의 만경강과 남쪽의 동진강을 가르는 모악지맥의 맹주로서 호남정맥의 서편에 인접한 모악산은 좀 더 크게 보면 호남평야 가운데서 그 면적이 으뜸인 김제평야의 넓고 기름진 들녘을 어머니처럼 보듬어 안고 있는 형국이다.
산세는 어떨까. 한마디로 높은 지명도만큼은 못하다. 기본은 하지만 그 이상은 아니라는 것. 헌걸찬 능선이 서해를 향해 내달리고 옥류같은 계류가 눈길을 붙잡지만 정상에 터잡은 거대한 방송국 송신소 철탑과 군부대는 어머니 머리에 쇠말뚝을 박은 양 가슴이 아려온다.
▼ 10시45분 완주 모악산관광단지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모악산 정상 방향으로 7분 정도오르면 대형 등산안내도를 만나고 나무다리를 건너면 수왕사 방향 계곡길과 우측 능선 상학능선 오름길을 만난다. 산악회코스는 오래전 답사하여 미답코스 위주로하여 산행에 임한다.
▼ 10시53분 계곡길을 따라가면 선녀폭포와 수왕사에서 능선으로 오르고 나는 우측 상학능선으로 접어들어 모악산 정상으로 능선길 이어간다. 10여분 능선오르면 송학사갈림길을 만난다.
▼ 11시08분 우측으로 송학사갈림길을 만나고 가야할 능선길은 좌측으로 휘어진다.
▼ 11시21분 좌측 대원사에서 올라오는 길과 합류되어 모악산 정상으로 향한다.
▼ 11시31분 제법 가파른 나무계단 5분 정도 오르면 능선갈림길을 만난다.
▼ 11시35분 우측으로 비단길 능선이 시작되며 두방마을로 이어진다.
▼ 11시39분 조망바위에서 선다 계곡아래 대원사와 더 멀리 구이면소재지와 저수지 그위에 경각산이 .. 우측 모악산 정상 송신소가 조망된다.
▼ 11시43분 능선길 우측으로 수미터 559.8봉인데 꼭대기에 무덤이다.
♬ 음악 동영상 / 님의 향기
님의 향기
아티스트 김경남
밤새 갈바람 잠을 잔듯이
조용한 바람인듯 눈을 감으면
님의 모습인가
향기인듯한 생각에
눈시울 적셔옵니다
이별이 아닌데도 님이 떠난후
텅빈가슴 어쩔수 없어요
견디기 힘든 아픔만
까맣게 태워버린 밤
너무 허전해
뜨거운 가슴으로 길을 나서도
막상 갈곳이 없어요
못다준 사랑의 아쉬움이
가슴에 남아 있는데
오직 그대곁에 머물고 있는
사랑하는 내마음
까맣게 태워버린 밤
너무 허전해
뜨거운 가슴으로 길을 나서도
막상 갈곳이 없어요
못다준 사랑의 아쉬움이
가슴에 남아 있는데
오직 그대곁에 머물고 있는
사랑하는 내마음
사랑하는 내마음
▼ 11시50분 수왕사갈림길이 좌측에서 올라와 능선과 합류된다.
▼ 11시54분 학바위에서 노란색원 산행초입이 조망되고 그뒤로 추억의 산 호남정맥 ..
▼ 추억의 포토 / 1997년10월17일 완주 구이면 원기리에서 시작하여 여기쯤에서 ..
▼ 11시55분 학바위에 조망을 즐긴후 모악산 정상으로 향한다.
▼ 11시58분 안부사거리 중인동갈림길이다. 중인동은 전주시 완산구의 행정동이다. 능선오름길 10여분이 못미쳐 무제봉에 올라선다.
▼ 12시06분 무제봉 688m 정상이다. 높이는 지도나 현지에서도 표시가 없다. 해서 GPS고도를 참조하여 기록하며 조망을 즐긴후 산길 이어간다
▼ 12시07분 무제봉 정상에서 지나온 능선과 그뒤로 펼쳐지는 호남정맥 .. 그뒤로 올해 초에 산행한 임실 신덕면 상사봉과 분지봉 라인이 호남정맥에서 조금 벗어난 치마산 뒤로 아스라이 펼쳐진다.
▼ 12시08분 무제봉 정상에서 가야할 모악산 정상 송신소
▼ 12시10분 무제봉 688m 정상에서 .. 야 ~야 ~ 언자 가야지 와 그래 서있노 .. ㅋ
♬ 음악 동영상 / 님 그림자
님 그림자
아티스트 노사연
저 만치 앞서가는 님 뒤로
그림자 길게 드린 밤
님의 그림자 밟으려 하니
서러움이 가슴에 이네
님은 나의 마음 헤릴까
별만 헤득 걷는 밤
휘헝한 달빛 아래 님 뒤로
긴 그림자 밟을 날 없네
저 만치 앞서가는 님 뒤로
그림자 길게 드린 밤
님의 그림자 밟으려 하니
서러움이 가슴에 이네
님은 나의 마음 헤릴까
별만 헤득 걷는 밤
휘헝한 달빛 아래 님 뒤로
긴 그림자 밟을 날 없네
▼ 12시17분 무제봉에서 모악산 정상으로 향하는길 데크계단 오른후 만나는 큰바위에 올라 산행의 묘미를 즐기는 ♀♂공룡들 ..
▼ 12시18분 모악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데크계단을 오른다
▼ 12시21분 전망대에서 잠시 쉬어간다
▼ 12시22분 데크전망대에서 지나온 능선
▼ 12시23분 데크전망대에서 구이면소재지와 구이저수지
▼ 12시23분 전망대에서 가야할 모악산 정상 송신소
▼ 12시25분 매봉갈림길 나무계단에서 모악산 정상 답사후 다시 되돌아올 북봉.매봉갈림길이다.
▼ 12시28분 계잔 좌측으로 오르면 모악산 정상이고 직진하면 남봉 장근재로 이어진다.
▼ 12시30분 모악산 793.5m 정상이다.
▼ 추억의 포토 / 2012년3월14일 모악산 정상에 올랐을 땐 정상표시목이 정상표석으로 새로이 설치되어 있네 ..
♬ 음악 동영상 / 나의 기타
나의 기타
아티스트 한승기
바람을 따라 갔다네
구름을 잡고 싶었네
셀 수도 없을 만큼
내 꿈을 바라 보았네
외로운 나의 인생에
단하나 힘이 되준건
저 환한 조명보다는
초라한 나의 기타였다네
가끔씩은 연인 친구
언제나 나의 곁에 있었지
가끔씩은 아픈 슬픈
순간에 고개를 저었었지만
영원히 함께 하리라
지금껏 그런 것처럼
내 길이 흔들린데도
너만은 함께 하리라
바람도 따라 오겠지
구름도 함께 하겠지
꿈꾸던 나의 인생도
언젠간 잡게 될거야
가끔씩은 연인 친구
언제나 나의 곁에 있었지
가끔씩은 아픈 슬픈
순간에 고개를 저었었지만
영원히 함께 하리라
지금껏 그런 것처럼
내 길이 흔들린데도
너만은 함께 하리라
바람도 따라오겠지
구름도 함께 하겠지
꿈꾸던 나의 인생도
언젠간 잡게 될거야
영원히 함께 하리라
지금껏 그런 것처럼
내 길이 흔들린데도
너만은 함께 하리라
바람도 따라 오겠지
구름도 함께 하겠지
꿈꾸던 나의 인생도
언젠간 잡게 될거야
▼ 12시32분 모악산 793.5m 정상 송신소 옥상에서 주변산세를 살핀후 북봉.매봉으로 능선이어간다. 남봉에서 우측으로 한바퀴 돌아보면서 찰영에 임한다. 저기 쉰질바위는 모악산 이름의 근원이 된다.
▼ 12시34분 남봉 쉰질바위에서 이어지는 모악지맥 능선 ..
▼ 12시34분 장근재 빼재에서 우측으로 눈길을 돌리면 금산사가 닥아온다.
▼ 12시33분 모악산 정상에서 빽하여 가야할 능선 .매봉과 도통사길
▼ 12시34분 산행초입 지나온 상학능선 넘어로 전주시내가 한눈에 쏙 들어온다.
※ 모악산은 흔히 서쪽인 김제 쪽을 내모악, 동쪽 완주 쪽을 외모악이라 한다. 내모악과 북쪽의 전주로 뻗어내리는 능선은 길고 완만한 반면 외모악은 짧고 가파르다.
모악산 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둘 있다. 후백제를 세운 견훤과 민족종교인 증산도의 창시자 증산 강일순이다.
통일신라 말기의 혼란을 깨치고 새로운 세상을 도모하던 견훤. 그에겐 당시 백성들의 희망이던 미륵불의 보증이 절대적으로 필요해 그는 미륵도량인 모악산 금산사에 공을 많이 들였다. 하지만 그가 넷째아들인 금강에게 왕위를 물려주려 하자 맏이인 신검과 둘째인 양검이 쿠데타를 일으켜 아버지 견훤을 미륵전 지하에 석 달 동안 가둬 버렸다. 미륵전을 겨우 탈출한 견훤은 왕건에게 투항했고, 이후 왕건이 황산벌에서 신검의 군대를 무찌르는 광경을 지켜봐야만 했던 비운의 아버지였다. 견훤이 갇혔던 그 미륵전이 바로 국보 62호인 금산사의 대표적 전각이며, 도립공원 입구의 '견훤성문'이라 불리는 돌무지개문은 신검이 아버지 견훤을 가둘 당시 만들었다고 전해온다.
증산도의 창시자 강일순은 동학농민전쟁의 무참한 좌절로 황폐해진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후천개벽'의 희망을 심어준 민족종교 지도자이다. 그가 깨달음을 완성한 곳이 바로 모악산이다.
▼ 12시35분 모악산 793.5m 정상에 송신소 옥상에서 7년전 추억의 포토와 함께 한다.
▼ 12시35분 모악산 793.5m 정상 송신소 옥상에서 조망을 즐긴후 다시 되돌아나와 북봉.매봉으로 이어간다.
▼ 12시41분 북봉.매봉갈림길에서 북봉으로 이어간다.
▼ 12시46분 정상삼거리에서 좌측은 금산사로 이어지고 직진하여 북봉 매봉으로 이어간다.
▼ 12시49분 북봉에서 뒤돌아보면 지나온 모악산이 쳐다본다.
♬ 음악 동영상 / 낙화유수
낙화유수
아티스트 소리사랑
이강산 낙화유수 흐르는 봄에
새파란 잔디얽어 지은 맹세야
세월의 꿈을 실어 마음을 실어
꽃다운 인생살이 고개를 넘자
이강산 흘러가는 흰구름속에
종달새 울어울어 춘삼월이냐
홍도화 물에 어린 봄나루에서
행복의 물새우는 봄으로 가자
사랑은 낙화유수 인정은 봄을
오늘도 가는곳이 꿈속이더냐
영춘화 야들야들 피는 들창에
이강산 봄소식을 편지로 쓰자
▼ 12시50분 북봉 헬기장이다. 좌측은 심원사로 이어지고 잠시 추억의 포토와 함께 한후 .. 직진하여 매봉으로 향한다.
▼ 추억의 포토 / 1997년10월19일 모악산 북봉 헬기장에 ..
▼ 추억의 포토 / 1997년10월19일 모악산 북봉 헬기장에서 ..
▼ 12시55분 매봉으로 향하는 모악지맥 능선길 우측으로 갈림길은 전주 완산구 중인동으로 빠지는길이 몇 군데 있다.
▼ 13시04분 13시04분 우측으로 중인동갈림길이고 10여분 후 안부사거리에서 직진하면 매봉 정상이다.
▼ 13시17분 매봉 624m 정상에서 좌측으로 금산사주차장이정표를 따른다. 8분후 헬기장에 이른다.
▼ 13시25분 헬기장에서 지나온 능선 살펴본다.
▼ 13시43분 도통사길 헬기장에서 25분 정도면 백운동 뽕밭에 도달한다.
▼ 13시50분 백운동 뽕밭에서 좌측 모악산마실길로 금산사 이어간다.
▼ 13시53분 뽕밭에서 모악산마실길 50여분 이어가면 금산사에 이른다.
▼ 14시04분 모악산마실길 비장골에 이르러 금동계곡을 타고 금산사로 향한다.
▼ 14시07분 금동계곡길~~
▼ 14시26분 연리지를 만난다. 데크쉼터가 조성되어 하절기에는 시원하겠다.
▼ 14시29분 금동계곡 입구에 이른다. 15분 정도 넓은길 따라 내력가면 금산사에 이른다.
▼ 14시33분 금산사 부도전에 해덕왕사 탑비도 있다.
▼ 14시25분 금산사가는길 뒤돌아보면 모악산이 쳐다본다.
♬ 음악 동영상 / 남자의 일생
남자의 일생
아티스트 백수정
1절
멋지게 살자 다짐했던나
돌아보니 해는기울고
까만 머리엔 하얀 설움이
눈꽃처럼 내려앉았네
나팔 바지에 빽구두 신고
잘나간다 큰소리 쳤지
한잔의 술에 눈물 채우니
세월이란 안주 내미네
뭘해도 폼이 났었지
뭘해도 자신있었지
하지만 인생이란게
그게 전부가 아니야
살다가 보면 알게 될꺼야
이세상에 제일 인것은
툭 터놓고 웃을수 있는
당신있어 제일인 것을
이게 바로 남자의 일생
1.2절 가사
▼ 14시44분 금강문을 거쳐 금산사 보제루 앞에 선다.
※ 아치형 다리인 해탈교를 건너 금강문에 이어 보제루 아래를 통과해 경내로 들어서면 이구동성으로 입이 쩍 벌어진다. 우선 절집의 규모에 놀라고 국내 유일의 목탑형 전각인 미륵전의 아름다움에 반하고, 미륵전 안의 미륵불 높이(11.82m)에 감탄한다. 부처님 사리를 모신 석종형 부도가 있는 방등계단, 첫 인상이 다소 이국적인 육각다층석탑 등 빠뜨려선 안 될 귀중한 국보 보물 등 불교유적 10여 점이 반경 100m 안에 널려 있다.
▼ 14시45분 금산사 보제루 앞에는 멋진 경관송이 눈길을 끈다.
▼ 14시46분 금산사 경내 들어서면 와 ~~ 사리탑과 오측석탑을 유심히 살펴보아야 추억의 포토와 비교가 된다.
▼ 추억의 포토 / 1994년10월2일 금산사 25년전 오층석탑과 사리탑의 높이가 이건데 .. 지금은 약 6~7 미터 이상 높이 올라있고 새로이 세척하였네 ..
▼ 14시47분 금산사 대적광전 앞에서 추억의 포토와 함께 한다.
▼ 추억의 포토 / 1994년도 금산사 대적광전 앞에서 ..
▼ 14시49분 금산사 다층석탑
▼ 14시50분 금산사 경내에서 당겨본 모악산
▼ 14시53분 금산사 오층석탑에서 내려다본 미륵전과 금산사 경내
▼ 14시55분 금산사 방동계단 사리탑과 오층석탑
▼ 14시57분 금산사 미륵전에 봉안되어있은 미륵불
▼ 15시00분 금산사와 미륵전을 뒤로하고 금산사주차장으로 발길을 돌린다. 여기서 20여분 절길을 걸어 나가면 주차장에 도착한다.
▼ 15시09분 금산사 일주문을 지나면 잠시후 개화문을 지난다. 개화문은 견휜산성인데 원래의 작은 성문은 사라지고 새로이 크게 확장되었다.
▼ 15시19분 금산사주차장에서 산행거리 13.8km 4시간34분 산행을 종료한후 40여분후 공룡산악회 차량은 귀로에 오른다.
~~~~~~~~~~~~~~~~~~~~~~~~~~~~~~~~~~~~~~~~~~~~~~~~~~~~~~~~~~~~~~~~~~~~~~~~~~~~~~~~~~~~~~~~~~~~~~~~~~~~~~~~~~~~~~~~~~~~~~~
※ 산악회버스는 김제 금산사주차장에서 1시간40분 정도 차량이동하여 산청 경호강변 생초식당에서 메기매운탕으로 저녁밥 1시간 정도 묵고 부산으로 이어간다.
▼ 17시43분 생초식당
▼ 완주 모악산 김제 금산사 오룩스맵 트랙통계
▼ 완주 모악산 김제 금산사 오룩스 맵 / 클릭확대
▼ 모악산 산행지도
▼ 완주 모악산 대형지도 / 클릭확대
▼ 김제 모악산 5만 지도 / 클릭확대
7. 차량이동(올 때); 저녁식사53분
♤16:02 금산사주차장(김제 금산면)→청도재(유각치)→16:24 중인교차로(전주 완산구 중인동)→16:35 상관T.G→순천완주고속도로→남원J.C→광주대구고속도로→함양J.C→통영대전고속도로→17:42 생초식당(메기탕53분.산청 생초면 어서리)→19:08 진주J.C→남해고속도로(순천-부산)→19:54 진영휴게소(10분)→20:16 북부산T.G→만덕터널→20:37 동래 내성교차로 도착
♤차량이동시간; 4시간35분
♤차량왕복이동거리; 약 557km
8. 경비;
♧회비 35,000원
9. 특기사항
10. 작성일자; 2019년2월18일(월) 14시25분 자택에서.........
11. 작성자; *********************1597-19-11****************** 도시속의 野人 海廣
'산행기록1 (2010년~2019년) > 전라북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실 상사봉 도지봉 지초봉 둥지봉 (0) | 2019.02.03 |
---|---|
고창 선운산(청룡산 국기봉 사자바위 투구바위) 선운사 (0) | 2019.01.28 |
무주 덕유산 곤도라 향적봉 칠연계곡 (0) | 2019.01.24 |
진안 운장산 연석산 (0) | 2018.12.24 |
완주 운암산 대왕폭포 (0) | 2018.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