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초례봉 환성산 불굴사
일자; 2001년 7월 15일(일) 날씨; 맑음
『그룹 등산』
1. 산명; 초례봉△635.7m~환성산△811m~卍불굴사(원효굴)
2. 위치; 대구시 동구 매여동 (큰골 매여동 버스 종점)
3. 출발
♠08:05 자택에서 부인과 함께 승용차→원동교→번영로→08:25 구서동(2명)→부산T.G→경부고속도로→언양휴게소→10:10 동대구I.C→대구 동구 용계동→「대성연탄공장」→매여동(매남)→10:35 매여동버스종점 도착(부인은 하산지점으로 차량이동)
☥차량이동시간; 2시간30분
☸차량이동거리; 146㎞
☞ 지도 사진 클릭확대
▼ 초례봉 환성산 산행지도
4. 산행코스(♈문화유적답사)
♣10:45 매여동(버스종점)→다리 농로→10:55 산길진입→능선오름→11:50 초례봉△635.7m(20분)→Ⓗ장→능선→안부 삼거리→12:50 낙타봉 △655m 암릉지대→13:30 성령(임도)→능선 오름→13:45 능선 점심(50분)→15:00 환성산△811m(암봉 10분)→무선통신시설→바위전망대→안부 삼거리→15:35 ▲ 618m봉→능선→16:35 능선하산 갈림길(불굴사)→17:00 卍불굴사 도착(참배 및 문화유적답사 석탑 석등 원효굴 김유신장군의 기도처 답사시간30분)
♉산행시간; 6시간15분
§부인 차량이동(동구 매여동~경산 와촌 신한리 卍불굴사)거리; 33㎞
▼ 대구 동구 매여동 초례봉 환성산 10만지도
대구 초례봉-환성산-불굴사
우선 열차로 동대구역까지 간다. 부산역에서 오전 5시30분부터 오전 6시15분 6시45분 6시55분 7시15분 7시30분 8시15분 8시35분 등. 표준요금(월요일 및 금 오후 6시 이전) 4천8백원, 화 수 목은 할인요금, 금 오후 6시 이후 및 토 일요일은 할증요금 적용. 1시간20분 소요. www.korail.go.kr
열차에서 내리면 5분 거리인 지하철 동대구역까지 걸어간다. 「안심」방면 전철을 타고 「율하」역에서 내린다. 율하역앞 버스정류소에서 「매여동」행 11-6번 버스를 타고 종점까지 가면 된다. 이 버스는 오전 6시55분 8시45분 10시35분께 온다. 지하철 동대구역에서 율하역까지 15분 정도 걸린다. 율하역앞에서 택시를 타면 4천원 정도 나온다. 주민들은 『매여동은 촌마을이라 왕복요금을 달라할 것』이라 말했지만 취재팀이 이용한 택시의 기사는 전혀 그런 요구를 하지 않았다.
지하철 안심역까지 곧장 가서 왼쪽 출구로 나와 아무 버스나 타고 「반야월저탄장」에 하차한 뒤 「서울전자레저만물상」앞에서 매여동행 버스를 타는 방법도 있다(취재팀이 이용한 교통편임). 여기서는 오전 7시5분 8시55분 10시45분에 버스가 온다. 택시비는 3천원 안쪽.
불굴사를 거쳐 하산해 경산시 신한리새마을회관앞을 지나 「두리슈퍼」까지 나오면 버스정류소다. 여기서 우선 경산시 하양까지 들어가는 버스를 탄다. 오후 1시40분 2시35분 3시30분 4시 5시10분 6시10분 6시50분 7시55분(막차). 하양정류소에서 내려 축협건물 맞은편 버스정류소에서 818번 노선버스를 타면 동대구역까지 곧장 간다. 동대구역에서 부산까지는 열차편으로 쉽게 올 수있다.
「저 멀리 보이는 대구 팔공산과 갓바위 경치를 병풍삼아 녹음이 깃들기 시작한 산길을 마음껏 걷는다」.
이웃 대도시인 대구와 경북 경산을 가르고 있는 산줄기인 초례봉(635.7m)∼환성산(環城山·811m)구간은 놀라운 매력을 뿜어내고 있었다. 아늑한 숲길과 울퉁불퉁한 바위길이 번갈아 나타나며 한 순간도 지루해할 틈을 주지 않았다.
톡톡 튀듯 솟아오른 암봉이 섞인 능선길은 대구의 진산 팔공산과 「영험의 상징」 갓바위를 향해 조망이 시원하게 열린다. 거대한 평원위에 자리잡은 듯한 대구 시가지의 경치도 이채롭다. 대도시 인근의 산답게 등산로가 뚜렷히 열려있으면서도 휴지 조각 하나 찾아보기 힘들 만큼 깨끗한 산길 주변은 부러움마저 자아낸다. 근교산 특유의 울퉁불퉁한 굴곡으로 힘깨나 써야 하건만 하산길에는 유서깊은 고찰 불굴사가 자리잡고 있어 감로수 한 바가지에 모든 산행피로는 씻겨 내려간다.
이번 주 산행로는 「대구 초례봉∼환성산∼불굴사」코스로 하산길에 만나는 사찰 불굴사는 경북 경산시에 속한다. 산행경로는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동 버스정류소를 기점으로 초례봉∼헬기장∼철탑1기∼655m봉∼임도가 끝나는 지점의 공터∼환성산정상(무선통신시설)∼618m봉∼불굴사를 거쳐 경산시 화양읍 신한리 하산으로 이어진다. 능선의 오르내림이 잦은 편인데다 산행후반부에 갈림길을 여러 군데 만나 조금 신경이 쓰인다. 약 6시간 소요.
산행초입인 대구시 동구 매여동은 시가지를 연상시키는 행정명칭과는 달리 산자락 시골동네다. 마을 끝 버스종점 표시판에서 개울을 따라 콘크리트길을 조금 올라가 처음 만나는 조그만 다리로 도랑을 건넌다. 몇발짝 안가 길이 오른쪽으로 꺾이는 지점에서 직진방향(왼쪽)으로 작은 오솔길이 갈라진다. 눈앞에 보이는 비닐하우스에 조금 못 미친 지점이다. 주민들이 『잘 오셨다. 이 산 참 좋다』며 환대를 한다.
이 오솔길로 접어들면 곧장 깨끗한 숲속 능선길이 시작된다. 길을 따라 50∼60분 가량이면 초례봉 정상에 오른다. 정상에 가까와질수록 아기자기한 암릉구간이 시작하면서 주변의 조망이 확 뚫린다. 참으로 시원하고 깨끗한 기분을 맛볼 수 있다. 정상에는 이곳이 상봉임을 알리는 표지판이 만들어져 있다. 정상의 표지판 너머쪽이 팔공산이다.
초례봉을 통과해 5분이면 헬기장을 지난다. 헬기장을 통과하는 순간 정면으로 물굽이치는 파도처럼 나타나는 능선의 모습이 썩 싱그럽다. 20분 정도 더 나아가면 삼거리를 지나 655m봉에 오른다. 이 봉우리를 내려섰다 맞은 편으로 올라서면서 물결치는 듯한 암봉들을 차례로 통과한다. 약 40여분 정도 길을 따라가다 능선 위에서 방화선처럼 넓게 뚫린 길을 만난다. 이 길을 잠깐 따라나가면 곧 오른쪽으로 샛길을 발견할 수 있다. 방화선길을 버리고 이 샛길로 내려서면 넓직한 공터가 나온다. 오른쪽인 경산시 화양읍에서 올라오는 임도가 끝나는 지점이다. 지도상에는 성령이라는 이름으로 등재된 고개다. 왼쪽으로 연결되는 숲속 하산로는 대구시 동구 광평동으로 연결된다.
양쪽 하산로는 모두 무시하고 정면의 오르막길로 접어들어서 산행을 이어간다. 제법 경사가 급해 숨이 가쁜 이 오르막을 타고 20분이면 능선에 올라서는데 5분 정도 더 들어가면 환성산 정상에 닿는다. 정상에는 바위 덩어리들이 자리잡고 있어 조망이 사방으로 시원스럽게 열린다. 초례봉에서 보았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방향에 팔공산이 앉아있다.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왼쪽의 병풍같은 봉우리들이 팔공산 산군이다. 철탑이 서있는 쪽이 비로봉, 그 앞쪽이 동봉, 비로봉의 왼쪽이 서봉이다. 정상에는 「접근금지」표지판이 붙은 무선통신관련 시설물이 있다.
이 무선통신시설 앞으로 난 길을 따라 내려선다. 곧 헬기장을 통과한다. 헬기장을 통과한 지 20여 분만에 오르막 한 곳을 지나면 삼거리다. 왼쪽 갈림길로 가면 능성고개쪽으로 연결되는데 여기서 반드시 오른쪽 길을 잡아야 한다. 이번 산행에서 중요한 갈림길이다.
이 쯤 오자 그간 심심찮게 소음을 내던 인근 공항의 비행기 소리도 잦아든다. 여기부터는 간간히 나오는 갈림길들을 무시하고 시원하게 열린 능선길을 거침없이 걸어가면 이어지는 산길이 열린다. 약 45분 「달리다」보면 막바지라 조금 힘겹게 느껴지는 오르막을 치고 올라 618m봉을 통과한다. 취재팀이 국제신문리본 2개로 표시해놓은 직진 방향의 출구를 통해 이 봉우리를 내려서면 한동안 숲이 우거진 산길을 타고 간다. 15분 만에 숲속에서 양쪽으로 소로가 열린 낮은 지점에 도착한다. 여기서 왼쪽으로 내려선다. 10분 채 안 걸려 넓직한 길로 내려서는데 민가 한 채를 거쳐 불굴사로 곧장 들어설 수 있다. 불굴사에는 갓바위약사여래불과 같은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약사여래부처가 모셔져 있고 신라시대 김유신장군과 원효대사의 전설이 깃든 거대한 바위암자와 「아동제일약수(我東第一藥水)」등 볼거리와 유적이 꽤 많다. 불굴사에서 큰길을 따라 25분 정도 내려오면 도로에 내려선다. 도로에서 오른쪽으로 꺾어 5분 정도 더 가면 버스정류장이 있는 「두리슈퍼」앞이다.
▼ 초례봉 정상
▼ 초례봉 정상표석
▼ 불국사
5. 귀로;
♤17:30 卍불굴사(경산 와촌 신한리)→경산 와촌→경산 금호→18:10 영천(목욕 저녁식사 1시간15분)→19:25 영천→19:35 영천I.C→경부고속도로→20:40 부산T.G→구서동(2명)→번영로→원동교→21:00 자택도착
♑차량이동시간; 3시간30분
☁차량이동거리; 141㎞(왕복 320)㎞
6. 교통 및 인원; 자가승용차(부산1도 5463)와 4명(산행3명) 정계진 김이태와 나 부인은 하산지점 차량이동
7. 경비
♣도로비8,600원 휘발유소모320㎞ 38,000원
☢계46,600원
♕저녁식사(잉어찜:20,000원) 및 목욕료는 “김이태씨” 제공함
8. 참고자료; 10만도로교통지도, 일간신문(국제신문)
9. 특기사항
1)동대구I.C를 통과한 후 “매여동” 진입도로 찾은데 도심지역이라 애로
2)매여동 주변 계곡 및 유원지화
3)산행 중 능선길 에서 조망: 팔공산 대구시내와 경산시등 조망이 시원하다.
4)卍불굴사 답사 보물 및 김유신장군의 삼국통일 기원 수도처 동굴 답사
♧작성자; *******************************336-01-53************************** 주유천하
'回考版 > 새천년산행기록(2000년~2006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 망운산 용두봉 학등산 (0) | 2009.03.06 |
---|---|
청도 홍두깨산 우미산 삼성산 (0) | 2009.03.06 |
대구 삼필봉 청룡산 앞산 비파산 (0) | 2009.03.06 |
청송 주왕산 별바위봉 절골 (0) | 2009.03.06 |
고성 와룡산 향로봉 (0) | 2009.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