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함박산 석은덤 용소골
일자; 2014년 1월 4일(토) 날씨; 구름조금
1. 산명; 신선산△196m~안장산△260m~함박산△485.5m~석은덤△543m~용소골
2. 위치; 부산시 기장군 정관면 덕선리 내덕마을 입구(GS주유소)
3. 인원; 청노루
4. 차량이동(갈 때);
♤06:30 자택→100-1번 시내버스→도시철도 동래역버스정류장→1008번 직행버스 환승→구서동→기장 철마→기장 정관→07:50 내덕마을 입구(GS주유소) 도착
♤차량이동시간; 1시간20분
♤차량이동거리; 약 40km
▼ 부산 함박산 석은덤 용소골 트랙지도
5. 산행코스;
♤07:55 내덕마을 입구→달음산주유소(GS)→08:02 지게고개→능선진입→쌍무덤→08:15 삼각점×190봉→신선바위→08:44 신선산△196m→08:47 안부사거리→08:52 송전탑(터널)→내덕산장→09:06 안장산△260m→09:11 갈림길→09:25 쉼터바위→박씨 묘→09:36 함박산△485.5m→09:47 삼거리 오른쪽(왼쪽 병산)→송씨행적비→10:07 석은덤△543m(삼각점.산불초소)→10:16 철쭉산책로→10:18 장안목장 철문→10:21 갈림길.억새지역→10:29 삼거리(경고판)→멋진소나무→10:35 ×462봉→10:46 철망휀스 삼거리→10:49 삼거리/왼쪽 시명산.박치골→10:54 질매재→용소골→11:17 임도→11:21 용소골(점심15분)→팽나무보호수→11:56 용소→수연재→당산나무→12:06 용소회관→12:15 용소마을버스정류장(기장군 장안읍 용소리) 도착
♤산행시간; 4시간20분
♤산행거리; 12.3km<MapSource 12.3km>
6. 트랙 2014-01-04 부산 함박산 석은덤 용소골(12.3km).gpx
부산 석은덤(9.0km)771gijangseokeundeom.gpx
▼ 부산 함박산 석은덤 용소골 산행지도 / 5만
▼ 부산 함박산 석은덤 용소골 10만 지도
석은덤이라는 독특한 이름의 유래는 불명확하다. 다만 석은덤은 전형적인 육산이지만 정상 부분만 바위 절벽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기장군지에는 예전부터 정관면 병산리에서 바라보는 석은덤을 큰덤산 또는 대둔산(大屯山)으로 불렀다고 나와 있다.
동해바다와 인접해 갯가가 우선 떠오르는 기장 내륙에는 의외로 산이 지천이다. 지도나 관광안내도를 봐도 온통 초록 일색이다. 기장을 제외한 부산 지역의 산을 합해도 수적인 면에서 한 수 위다. 아니 배 이상이다. 한마디로 기장 동쪽의 동해바다엔 파도가 일렁이지만 내륙엔 산의 물결로 넘쳐난다. 해발고도 300~500m대가 주를 이루는 기장의 산은 대부분 부드러운 능선으로 이어져 종주산행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종주코스로 기장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달음산~천마산~치마산(함박산)~문래봉~철마산 코스(8~9시간 소요)와 기장에서 울산으로 연결되는 남북코스인 함박산~석은덤~시명산~대운산 코스(6~7시간 〃). 전자는 부산의 대표적 종주길인 금정~백양산 코스에 버금가는 능선길로 동해바다와 영남알프스 금정산 등 부산과 동부경남 일대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고, 후자 또한 넉넉한 조망 외에 '봄 진달래 가을 억새'로 유명한 보석과도 같은 길이다.
오늘 찾은 기장의 산은 남북 종주코스의 기장 부분인 함박산~석은덤 코스. 신도시 공사가 한창인 정관면 내덕에서 출발, 용소골로 하산한다.(2코스.원효대사의 얼이 서린 천년고찰 장안사로 하산한다.)
산행은 정관면 내덕마을 입구~무명봉~신선산~임도~내덕산장 지나~안장산~박씨묘~함박산 정상~송씨 가족묘~석은덤 정상~억새군락지~경고판~창녕 성씨묘~질매재~용소골 하산 한다.(~2코스.장안사계곡 지계곡~대나무숲~장안사계곡~철망문~장안사~장안사 입구 버스정류장 순. 4시간40분 정도 걸린다.) 길은 대체로 순탄하지만 곳곳에 복병인 갈림길이 있어 길찾기에 유의해야 한다. 석은덤 정상에서의 황홀한 조망과 장안사계곡의 단풍이야 익히 알려져 있지만 석은덤에서 내려와 만나는 억새군락지는 이번 산행의 조그만 성과였다.
▼ 07시55분 GS주유소 앞 내덕마을버스정류장에서 산행을 출발한다 / 기장군 정관면 덕선리
정관 내덕마을 입구 GS칼텍스 달음산주유소 앞에서 하차, 길을 건너 주유소 옆 왼쪽 도로를 따라 오른다. 정면에 '내덕산장' 간판과 플래카드가 보인다. 첫번째 볼록거울을 지나 대각선 방향으로 산길이 열려있다. 들머리다. 평이한 길이다. 길 주변에 줄기가 빨갛고 포도색 열매가 맺힌 미국자리공 줄기가 곳곳에 꺾여있다. 미국자리공은 열매가 땅에 떨어지면 토양을 강산성으로 변화시켜 결국 숲을 망치는 외래식물. 아마도 이를 알고 있는 한 산꾼이 오르면서 공을 들인 듯하다. 고마운 일이다.
오를수록 꼼꼼히 살피지 않으면 못찾을 정도로 길이 묵었다. 30분 뒤 잇단 묘지와 쓰러진 소나무를 지나면 일렬로 늘어선 탱자나무를 만난다. 탱자나무가 끝나는 지점이 무명봉(190m). 들머리에서 32분. 왼쪽 나무 사이로 달음산이 확인된다. 이곳에서 임도까지는 대략 50분. TV안테나와 낮은 석축을 지나 또 하나의 무명봉(196m)을 지난다. 이 봉우리는 인근에 신선바위가 위치해 있어 신선산이라고 불린다.
▼ 07시57분 달음산 GS주유소에서 지나 저기 오른쪽 내덕마을길로 이어가면 지게고개다
▼ 08시00분 내덕마을 가는길 도로에서 달음산
▼ 08시02분 지게고개에서 왼쪽 쌍무덤 계단으로 산길 진입
▼ 08시15분 삼각점이 있은 190봉
▼ 08시42분 2분후 능선위 신선산 196m 이고 내려가면 안부사거리다
오를수록 꼼꼼히 살피지 않으면 못찾을 정도로 길이 묵었다. 30분 뒤 잇단 묘지와 쓰러진 소나무를 지나면 일렬로 늘어선 탱자나무를 만난다. 탱자나무가 끝나는 지점이 무명봉(190m). 들머리에서 32분. 왼쪽 나무 사이로 달음산이 확인된다. 이곳에서 임도까지는 대략 50분. TV안테나와 낮은 석축을 지나 또 하나의 무명봉(196m)을 지난다. 이 봉우리는 인근에 신선바위가 위치해 있어 신선산이라고 불린다.
임도에선 길 건너 올라 철탑 직전에서 오른쪽으로 간다. 흔히 들국화라 불리는 쑥부쟁이와 구절초가 반긴다. 5분 뒤 길 우측 내덕산장. 주변 솔숲 사이로 난 길은 모처럼 편안하다. 쓰러진 큰 소나무를 오른쪽으로 돌아가면 또다른 낮은 봉우리. 안장산(260m)이다. 계속되는 산길. 왼쪽 나무 사이로 얼핏 보이는 높은 산은 함박산이다. 대형풍선 잔해가 널부러진 사거리는 안장산에서 10분이면 닿는다. 왼쪽길로 오른다. 박씨묘를 지나면서 경사가 심해진다. 잇딴 묘지를 지나면 갈림길. 왼쪽으로 1분 정도 가면 함박산(479m) 정상. 안장산에서 대략 50분. 숲에 가려 조망도 없고, 정상석도 없다. 노란 리본 뒤에 함박산 정상이라고 적어놨다. 참고하길.
다시 갈림길로 되돌아가 직진한다. 3분 정도 내려오면 석은덤이 정면에 비로소 모습을 드러낸다. 이때부터 길찾기에 유의할 지점이 몇 군데 나온다. 첫번째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뒤이은 갈림길에선 오른쪽으로, 다시 8분 뒤 갈림길에선 직진한다. 본격 오르막이 시작된다. 송씨행적비와 너른 터를 지나면 산불초소가 있는 석은덤(543m) 정상.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조망이 일품이다.
▼ 08시47분 안부사거리
▼ 08시53분 내덕산장
▼ 09시11분 넓은길에서 왼쪽 능선길
▼ 09시24분 바위쉼터 지나서 박씨묘 지나면 함박산 정상이다
▼ 09시36분 함박산 정상 485.5m / 표시판 479m
▼ 09시36분 함박산 정상 표시판
▼ 09시47분 능선삼거리 / 왼쪽 병산리 오른쪽 석은덤
▼ 10시06분 석은덤 정상 모습
▼ 10시07분 석은덤 정상 543m / 삼각점도 있다
산불감시초소가 서 있는 바위 봉우리가 나타난다. 석은덤 정상이다. 올라서면 시원한 조망이 파노라마로 펼쳐진다. 정상석 뒤로 해운대CC와 동부산CC가 보이고 그 뒤로 용천산, 덕계 시가지, 천성산이 보인다. 오른쪽으로 시선을 돌리면 부산 시계길 답사에서 걸었던 능선과 시명산, 불광산, 대운산, 삼각산 등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자리를 잡고 있다. 더 오른쪽으로 보면 고리원전과 바다, 달음산도 시야에 들어온다.
답사로는 정상 오르기 직전 소나무가 서 있는 곳의 삼거리에서 이어진다. 넓은 내리막길을 200m가량 가면 이정표(석은덤 0.2㎞, 철쭉 산책로)가 있다. 여기서 넓은 길을 벗어나 왼쪽 내리막길로 가거나 정면 넓은 길로 계속해서 조금만 내려가면 철망 담장에 길이 막혀 있다. 왼쪽으로 가다가 철망을 만나면 오른쪽으로 올라서야 한다. 문을 통과해 능선 따라 넓은 길을 100m 정도 가다가 왼쪽으로 난 좁은 길로 들어서야 한다. 여기서부터 100m 정도 억새밭이 펼쳐진다.
억새밭이 끝나는 지점서 2시 방향 소나무 사이로 평탄한 길이 이어진다. 20~30m 가면 멋진 반송 두 그루가 있고 길은 여기서 오른쪽으로 꺾인다. 50m 정도 가면 다시 넓은 길로 내려선다. 왼쪽으로 꺾어 3~4분 가면 입산통제 표지판 앞에 Y자 갈림길이다. 오른쪽 길로 능선을 따른다. 길은 이내 다시 만난다. 15분 정도 가면 다시 철망 담장이 나타난다. 여기엔 출입문이 없어 우회해야 한다. 담장 앞 삼거리에서 왼쪽 내리막길은 상어령으로 가는 길이다. 오른쪽 능선 길로 간다. 이내 정면에 삼각산이 보인다. 10분 정도 내리막길을 가면 질매재다. 정면은 삼각산, 왼쪽은 장안사 방향이다. 용소골 방향인 오른쪽으로 내려선다.
길이 묵은 데다 낙엽이 두껍지만 길 찾기는 어렵지 않다. 여기서부터는 내내 계곡을 따라 내려간다. 몇 차례 계곡을 건너 40분 정도 내려가면 임도에 올라선다. 흙길을 200m 걸으면 콘크리트 포장로로 바뀐다. 여기서부터 날머리인 용소 버스정류장까지는 지루한 포장도로를 걸어야 한다. 하지만 용소골 계류를 바라보는 재미가 하산길의 심심함을 달래준다. 25분 정도 내려가면 길가에 수령 340년의 보호수 팽나무가 서 있다. 빼어난 계곡미를 자랑하는 용소를 지나 20분 정도 더 내려가 용소마을을 지나면 다시 수령 300년의 보호수 팽나무가 있다. 3~4분만 더 걸으면 부산-울산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 14번 국도의 용소 버스정류장에 도착한다.
▼ 10시07분 석은덤 정상표석
▼ 2011년1월2일 석은덤 정상 / 추억의 포토
▼ 2011년1월2일 석은덤 정상에서 기장해변 / 추억의 포토
▼ 10시08분 석은덤 정상에서 골프장과 불광산 시명산 대운산 풍경
▼ 10시08분 석은덤 정상에서 양산 덕계리 모습
▼ 10시09분 석은덤 정상에서 정관신도시와 백운산 망월산 풍경
▼ 10시10분 석은덤 정상 543m / 삼각점 안내문
▼ 10시11분 석은덤 정상에서 병산리와 용천산 모습
▼ 10시11분 석은덤 정상에서 삼각산과 가야할 용소골 모습
▼ 10시11분 석은덤 정상에서 덕선리 임랑해수욕장 방향과 오른쪽 달음산
▼ 10시16분 능선길 이정표 / 철쭉산책로
▼ 10시18분 장안목장 철문
▼ 10시21분 갈림길에서 왼쪽 억새지대
▼ 10시23분 억새지대에서 삼각산 모습
▼ 10시29분 임도삼거리 / 안내문
▼ 10시33분 멋진 소나무
▼ 10시35분 462봉
▼ 10시46분 철망 휀스삼거리
▼ 10시49분 삼거리 / 왼쪽은 시명산 박치골
▼ 10시54분 질매재 / 직진하면 삼각산 오른쪽 용소골로 하산길 접어든다
▼ 10시58분 용소골 상류
▼ 11시11분 용소골 철조망 울타리
▼ 11시15분 용소골 농장 울타리
▼ 11시36분 용소골 임도
▼ 11시54분 용소골 암반
▼ 11시55분 용소골 계곡 모습
▼ 11시56분 궁금하든 용소 이제야 만나는구나 !
▼ 12시04분 용소마을
▼ 12시07분 용소마을회관
▼ 12시08분 부산울산고속도로 교각 밑 멋진소나무 군락
▼ 12시10분 지나온 용소마을과 석은덤 모습
▼ 12시15분 용소마을버스정류장에서 산행거리 12.3km 4시간20분 산행 종료후 5분후 장안사에서 출발한 기장9번 마을버스에 올라탄다. ㅋ 버스 타이밍 귀똥차네.
청노루
박목월
머언 산(山) 청운사(靑雲寺)
낡은 기와집
산은 자하산(紫霞山)
봄눈 녹으면
느릅나무
속잎 피어나는 열두 굽이를
청(靑)노루
맑은 눈에
도는
구름.
▼ 양산 대운산 시명산 석은덤 종주 지도
▼ 양산 대운산 시명산 석은덤 종주 지도
▼ 부산 함박산 석은덤 지도
▼ 부산 석은덤 고도표
▼ 부산 석은덤 지도
▼ 부산 불광산 삼각산 석은덤 함박산 지도 / 5만
7. 차량이동(올 때);
♤12:20 용소마을버스정류장(기장군 장안읍 용소리)→기장9번 마을버스→기장시장버스정류장→139(39)번 시내버스 환승→도시철도 해운대역버스정류장→100-1번 시내버스 환승→14:05 자택도착
♤차량이동시간; 1시간45분
♤차량왕복이동거리; 약 79km
8. 경비;
♧부산시내버스 약3,600원
9. 특기사항
10. 작성일자; 2014년1월4일(토) 15시35분 자택에서.........
11. 작성자; ***********************1038-14-02**************** 도시속의 野人 海廣
'산행기록1 (2010년~2019년) > 부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금정산 둘레길<1> 범어사~화명역 34.4km (0) | 2014.02.17 |
---|---|
부산 배산 둘레길 (0) | 2014.02.02 |
부산 계명봉 사배이산 이하봉 (0) | 2013.12.30 |
부산 서낙동강 둑길 2구간 김해 초선대 대저수문 (0) | 2013.12.17 |
부산 서낙동강 둑길 1구간 녹산수문 노적봉 죽도성 칠점산 (0) | 201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