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1 (2010년~2019년)/강원도

동해 청옥산 두타산 무릉계곡 관음암

靑谷 2018. 6. 1. 13:33

동해 청옥산(靑玉山) 두타산(頭陀山) 무릉계곡(武陵溪谷) 관음암

일자; 2018년 5월 25일(금) 날씨; 맑음

 

1. 산명; 청옥산(靑玉山)△1403.7m~두타산(頭陀山)△1352.7m~무릉계곡(武陵溪谷)~관음암

2. 위치;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 무릉계곡주차장

3. 인원; 청노루 – 출타2산 -

 

4. 차량이동(갈 때);

♤05:30 태백시 삼수동<동아모텔.자가승용차>→태백시 통동→통리재(해발700m낙동정맥)→05:48 도계2터널(삼척 도계)→북평교차로(동해시 북평동)→06:25 동해시 삼화동→06:34 무릉계곡주차장 도착

♤차량이동시간; 1시간04분

♤차량이동거리; 58km<89,010km→89,068km>

 

 

▼ 05시30분 태백시 삼수동 동아모텔에서 동해시 삼화동 무릉계곡주차장으로 차량이동한다  

 

▼ 05시48분 삼척 도계터널 

 

♬ 음악 동영상 / 백지로 보낸편지

 

백지로 보낸편지

                   아티스트 김태정

 

나 ~

언제라도 생각이 생각이 나거든

그 많은 그리움을 편지로 쓰세요

사연이 너무 많아 쓸 수가 없으면

백지라도 고이 접어 보내주세요

지워도 지워도 지울 수 없는

백지로 보내신 당신의 마음

읽어도 읽어도 끝이 없을거에요

 

나 ~

지워도 지워도 지울 수 없는

백지로 보내신 당신의 마음

읽어도 읽어도 끝이 없을거에요

 

https://youtu.be/vE5slXfhkrA

 

 

 

 

▼ 06시23분 동해시 진입하여 20여분후 동해 무릉계곡주차장에 도착한다

 

 

~~~~~~~~~~~~~~~~~~~~~~~~~~~~~~~~~~~~~~~~~~~~~~~~~~~~~~~~~~~~~~~~~~~~~~~~~~~~~~~~~~~~~~~~~~~~~~~~~~~~~~~~~~~~~~~~~~

 

 

▼ 동해 청옥산 두타산 무릉계곡 트랙지도 / 클릭확대

 

 

5. 산행코스; 원점회귀

♤06:50 무릉계곡주차장→매표소→06:59 卍삼화사→07:05 관음암입구→07:15 조망바위→07:41 관음암(15)→08:11 신선바위→08:18 거북바위→08:33 하늘문→08:36 하늘문입구→08:39 문간재갈림길→08:48 쌍폭포→08:58 용추폭포(龍湫瀑布) →09:13 다시 문간재갈림길→09:23 문간재(조식20분)→09:523 학등입구→10:08 조망→10시16 첫무덤→10:42 두타조망→12:21 학등(백두대간능선)→12:23 옥산(靑玉山)1403.7m →12:50 문바위재→12:57 박달재→14:07 두타산(頭陀山)1352.7m(점심32)→14:55 바위전망대→15:14 쉰움산갈림길→15:34 대궐터삼거리→16:33 깔딱고개입구→16:44 산성12폭포→16:45 거북바위→16:50 두타산성→16:52 백곰바위→17:14 무릉계곡(武陵溪谷)→17:17 관음폭포입구→17:22 관음폭포 빽→17:34 학소대→17:50 무릉반석(금란정)→17:56 무릉계곡주차장 도착

♤산행시간; 11시간06분

♤산행거리; 21.8km

 

6. 트랙

2018-05-25 동해 청옥산 두타산 무릉계곡(21.8km원점).gpx
0.24MB
OruxMaps_2018-05-25 동해 청옥산 두타산 무릉계곡0649.zip
6.16MB

          

 

 

▼ 동해 청옥산 두타산 무릉계곡 오룩스 맵  / 클릭확대

 

▼ 동해 청옥산 두타산 10만 지도 / 클릭확대

 

 

두타산은 태백산맥의 동단부에 위치하며 동서간에 분수령을 이룬다. 동해시의 북서쪽으로는 청옥산(靑玉山, 1,404m)·중봉산(中峯山, 1,259m) 등을 연결하는 험준한 준령을 이루며 동쪽으로는 동해를 굽어보고 있다. 태백산맥이 이 산에 이르러 한 줄기는 북쪽으로 두타산성 줄기를 이루고, 또 한 지맥은 동쪽으로 뻗어 쉰움산[五十井山]에서 배수고개로 이어진다.

 

지질은 대부분 화강암이고 석회석 및 사암이 주변에 분포한다. 두타산과 청옥산은 거의 연결된 쌍봉을 이루나 형상은 매우 대조적이다. 두타산은 정상부가 첨봉(尖峯)을 이루고 주변은 급사면이어서 날렵한 산세를 보이나 청옥산은 완만하고 묵직한 형상을 이룬다. 두타산을 중심으로 세 개의 하천이 흘러간다.

 

하나는 북동 사면의 하천으로 박달골 계류와 사원터[士院基]골 계류를 모아 무릉계(武陵溪)를 형성하고, 살내[箭川]가 되어 동해시에서 동해로 흘러든다. 남동쪽 기슭에서 발원한 하천은 골지천(骨只川)과 합류해서 한강 상류가 된다. 또 동쪽 기슭에서 발원한 계류는 오십천(五十川)과 합류한다. 산이 깊고 험준하기 때문에 식물상이 잘 보존되어 있다.

 

북쪽 능선에는 잣나무 수림이 울창하며 수령이 오래된 소나무들이 무성해 기암의 산수미와 조화를 이룬다. 산정 부근에는 관목대와 초본대가 형성되어 고산식물의 군락이 있고 철쭉·만변초·조릿대 등이 군생한다. 이 밖에도 분비나무·세잎종덩굴·산앵두·큰앵초·관중·달피나무·전나무·바위떡풀 등 약 39종의 식물이 조사 발표되었다. 동물로는 산양·청설모·박새·까막딱다구리 등이 서식한다.

 

 

▼ 06시50분 무릉계곡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상가지구 매표소를 지나서 금란정 삼화사로 이어간다.

 

▼ 06시50분 무릉계곡 상가지구 

 

▼ 06시59분 삼화사에 이르러 오늘의 산행거리를 감안하여 삼화사 답사는 생략한다.

 

▼ 추억의 포토 / 1997년10월25일 삼화사에서 .. 

 

▼ 07시00분 삼화사를 벗어나면서 우측 산 능선안부에서 시선을 끌어 당긴다.

 

▼ 07시05분 관음암 입구에서 무릉계곡 벗어나 우측 관음암으로 이어간다. 철계단과 조망점 거쳐 35분 정도 시간을 보내면 관음암에 이르게 된다.

 

▼ 07시12분 관음암 가는길 

 

▼ 07시15분 철계단 넘어 숨고르기 한후 조망이 트이는 바위에 올라서면 청옥산이 날 유혹한다.

 

▼ 07시15분 조망바위 

 

▼ 07시35분 관음암 가는길 

 

▼ 07시41 관음암이다. 인적은 보이질 않고 이리저리 문고리를 잡아 법당으로 들어간다. 관음암이면 '관음불' 을 모신곳인데 관음불상이 좀 특이한 모습이다.

 

▼ 07시42분 관음암 .. 종 

 

▼ 07시45분 관음암 법당 부처님 

 

▼ 08시01분 관음암 산신각?

 

▼ 08시02분 관음불 참배후 법당 밖으로 나와 펼쳐지는 투타산을 찰영하는데 디카가 오픈이 안되서, 디카 재부팅후 사용가능상태로 되어 찰영했는데 .. 헌데 산행을 마친후 포토 작업에 아니 이게 우찌.. 디카 타이머에 '2013/01/01 12 : 00' 시점으로 ~~~ 쭈 욱 ~~ 5년전으로 타임머신 ??!! 그러니까 시간타임은 지금부터 '사진에 표시된 시간보다 4시간 전으로 계산'해야 되네 ..쩝쩝

 

▼ 08시04분 관음암에서 15분 정도 시간을 보낸후 관음암에서 발길을 옴긴다.

 

 

♬ 음악 동영상 / 고장난 벽시계

https://youtu.be/G8k4epYD7gA

 

고장난 벽시계

                아티스트 나훈아

 

세월아 너는 어찌
돌아도 보지 않느냐
나를 속인 사람보다
네가 더욱 야속하더라
한두 번 사랑땜에 울고 났더니
저만큼 가버린 세월
고장 난 벽시계는 멈추었는데
저 세월은 고장도 없네

청춘아 너는 어찌
모른 척하고 있느냐
나를 버린 사람 보다
네가 더욱 무정하더라
뜬구름 쫓아가다 돌아봤더니
어느새 흘러간 청춘
고장 난 벽시계는 멈추었는데
저 세월은 고장도 없네
고장 난 벽시계는 멈추었는데
저 세월은 고장도 없네

 

 

 

 

▼ 08시11분 관음암을 벗어나면 만나는 암반계류가 수 십미터 후에는 관음폭포로 이어진다.

 

▼ 08시13분 관음암에서 50m 이정표 

 

▼ 12시13분 관음암 내역 

 

▼ 08시13분 관음암에서 10여분 지난후 신선바위에 올라 조망을 즐긴다.

 

▼ 08시22분 신선바위 끝자락의 기묘한 모습

 

▼ 08시22분 신선바위 .. 고거도 참 묘하다 

 

▼ 08시28분 신선바위에서 .. 

 

▼ 08시34분 거북바위 조망점에 올랐으나 나무숲에 가려 확인이 불가능했다. 이후 바위틈새을 비좁고 들어가는 철계단을 따라 이리조리 해쳐나간다.

 

▼ 08시41분 하늘문 상단이다. 내려가는데 아찔함을 느껴 철계단 난간을 움켜 진다. 일명 피마름골이란다 

 

▼ 08시42분 하늘문 철계단 

 

▼ 08시44분 하늘문 철계단으로 내려간다 

 

▼ 12시44분 하늘문 철계단 

 

▼ 08시6분 하늘문 입구에 이르르 한숨 돌리고 하늘문 안내판으로 눈을 돌린다.

 

▼ 08시47분 계곡건너 뒤돌아본 하늘문이 거대하게 닥아온다. 그야말로 수직 절벽이다. ㅋ ㅎ 

 

▼ 08시49분 문간재갈림길이다. 여기서 쌍폭포와 용추폭포 왕복 30여분 소요된다.

 

▼ 08시48분 쌍폭포다. 폭포 직전에 박달재 이어가는 등산로가 있다. 쌍폭포에서 10여분 이어가면 용추폭포 상단에 이르게된다.

 

▼ 08시53분 용추폭포 하단부다. 5분 정도 더 발품을 팔면 상단으로 이어진다.

 

▼ 08시58분 용추폭포 상단에 이르렀으나 실망이다. 나무에 가려 조망이 방해된다. 여기서 다시 문간재갈림길로 되돌아 간다.

 

▼ 09시22분 다시 문간재갈림길로 되돌아와서 문간재로 오른다.

 

▼ 09시31분 문간재에서 어제 저녁에 마트에서 구입한 도시락으로 아침식사를 한후 산행길 이어간다.

 

▼ 10시01분 학등입구에서 무릉계곡에 이탈하여 좌측 계곡을 건너 학등으로 오른다. 2시간30분 정도 오르면 학등(백두대간능선)에 이르게된다.

 

▼ 10시05분 게곡 철다리를 건너 학등능선으로 진입했다.

 

▼ 10시15분 학등능선 좌측으로 조망바위에서 ..

 

▼ 10시23분 첫무덤을 만나고 이후 두어개 정도 스쳐지나간다.

 

▼ 10시44분 학등능선 오름길 

 

▼ 10시49분 바위에 올라서면 두타산이 조망된다.

 

▼ 11시07분 능선길 어렵사리 청옥산이 조망되고 이후 안부에서 이정표를 만난후 1시간25분 정도 오르면 학등(백두대간능선)에 도달한다.

 

▼ 11시29분 능선 오름길 만나는 고목과 이름모를 야생화가 날 반겨준다.

 

▼ 11시54분 학등능선 오름길 

 

▼ 12시24분 학등능선에서 이름모를 야생화

 

 

♬ 음악 동영상 / 끝이 없은길

 

끝이 없은 길

                   아티스트 박인희

 

길 가의 가로수 옷을 벗으면

떨어지는 잎새 위에

어리는 얼굴

그 모습 보려고 가까이 가면

나를 두고 저만큼 또 멀어지네

아 이 길은 끝이 없는길

계절이 다가도록 걸어 가는길

 

잊혀진 얼굴이 되살아 나는

저만큼의 거리는 얼마 쯤일까

바람이 불어와 볼에 스치면

다시 한번 그 시절로

가고 싶어라

아 이 길은 끝이 없는길

계절이 다가도록 걸어 가는길

걸어 가는길 음

 

https://youtu.be/Q6JO5Vvrmz0

 

 

 

 

▼ 12시31분 학등이다. 백두대간 능선과 합류되어 우측 청옥산 들런후 되도돌아와서 두타산으로 이어간다.

 

▼ 12시33분 청옥산 1403.7m 정상이다. 청옥산 정상에서 잠시 머문후 두타산으로 이어간다.

 

▼ 12시34분 청옥산 1403.7m 정상에서 ..

 

▼ 추억의 포토 / 1997년10월25일 청옥산 정상표석은 그 때 그모습이다.

 

▼ 추억의 포토 / 1997년10월25일 청옥산에서 ..

 

▼ 12시37분 청옥산 1403.7m 정상 무선송신안테나 

 

▼ 12시50분 청옥산에서 문바위재.박달재로 이어가는 백두대간 능선 내리막길 

 

▼ 13시00분 문바위재다. 우측계곡으로 내려가면 문바위골이다. 안내문 우천시에는 출입금하라 한다. 잠시후 능선 바꿔타면 박달재에 이른다.

 

▼ 13시05분 백두대간 능선길 

 

▼ 13시07분 박달재에 이른다. 좌측으로 내려가면 용추계곡 입구에서 무릉계곡과 합류된다. 우천시 출입을 삼가하라고 한다.

 

▼ 13시16분 박달재에서 두타산으로 이어가는 능선길 좌측으로 두타산 정상에서 무릉계곡으로 이어지는 하능선이 조망된다.

 

▼ 14시04분 능선길 조망이 트이는곳에서 뒤돌아 보면 초연하게 서서 저마다 한손들어 손 흔들어 준다.

 

▼ 추억의 포토 / 1997년10월25일 백두대간 능선에서 .. 우찌 비교가 되네 ㅋㅋ

 

▼ 14시07분 두타산 1353m 정상이다. 정상표석이 새롭다. 예전에는 이것이 아니었은데..  좌측으로 눈망을 굴리니 아 ~~ 옛 표석도 있다.

 

▼ 14시08분 두타산 1353m 정상에서 점심밥 32분과 함께 휴식도 한다.

 

▼ 14시30분 두타산 1353m 정상표석과 함께 .. 

 

▼ 추억의 포토 / 1997년10월25일 두타산 정상에서 ..

 

▼ 추억의 포토 / 1997년10월25일 두타산 정상에서 ..

 

▼ 14시48분 두타산 정상에서 샘터 이정표

 

▼ 14시48분 두타산 1353m 정상에서 무릉계곡으로 하산길 접어든다 

 

▼ 14시54분 두타산 정상에서 무릉계곡으로 향한다.

 

▼ 14시55분 바위전망대에서 무릉계곡으로 이어지는 능선길 뒤돌아보면 지나온 능선이 날을 따라온다. 클릭확대 파노라마 ~~

 

 

▼ 15시23분 하산능선길 좌측으로 백두대간 능선 ~~ 클릭확대 파노라마 ~~

 

▼ 15시24분 쉰움산갈림길이다. 오래전 2005년11월24일 삼척 천은사에서 쉰움산으로 올라 무릉계곡으로 하산 할때 들른든 곳인데 ..

 

▼ 15시26분 쉰움산갈림길에서 벗어나 조망이 트이는곳에서 가야할 능선이 반겨준다.

 

▼ 15시44분 대궐터삼거리다. 우측으로가면 대궐터가 있나 본대 정상에 올라 잠시 쉬어간다. 이후 약 1시간 정도 별 특징없고 조망도 없은 능선을 가면 산성터 흔적과 계곡을 만나면서 능선을 바꾸어 탄다.

 

▼ 15시48분 대궐터삼거리 정상이다

 

▼ 15시57분 능선 좌측으로 멋진 소나무 ..  클릭확대  ~~

 

 

▼ 16시39분 깔딱고개입구에서 개울을 건너면 능선 바꿔타고 두타산성으로 오른다.

 

▼ 16시42분 두타산 성터 흔적 

 

▼ 16시46분 이정표에서 두산산성 방향으로 .. 

 

▼ 16시37분 등로에서 잠시 벗어나 좌측으로 보면 두타산성 12폭포를 직접 만난다.  상향 방향이고 하향 방향은 잠시후 ..

 

 

▼ 16시38분 두타산성 12폭포에서 하향 방향 ..

 

 

▼ 16시44분 두타산성12폭포에 올라 ..

 

 

▼ 16시47분 두타산성에서 지나온 관음암 .. ㅋ ㅎ 절경이로다

 

▼ 16시52분 두타산성에서 지나온 두타산성12폭포 방향

 

 

▼ 16시55분 산성12폭포에서 거북바위가 좀 날씬하게 생겼다.

 

▼ 17시01분 두타산성

 

▼ 추억의 포토  1997년10월25일 투타산성 에서 ..

 

▼ 17시03분 두타산성에서 만난 백곰바위를 뒤로하고 20여분 가파른길 내려가면 무릉계곡과 합류된다.

 

 

♬ 음악 동영상 / 명자

https://youtu.be/usHvad89tbc

 

명자

                    아티스트 나훈아

 

나 어릴 적에 개구졌지만
픽하면 울고 꿈도 많았지

깔깔거리며 놀던 옥희 순이
지금 어디서 어떻게 변했을까

자야자야 명자야
불러샀던 아버지
술심부름에 이골 났었고

자야자야 명자야
찾아샀던 어머니
청소해라 동생 업어줘라

어스름 저녁 북녘하늘 별 하나
눈물 너머로 반짝반짝 거리네

 

나 어릴 적에 동네사람들
고 놈 예쁘다 소리 들었고
깐죽거리며 못된 철이 훈아
지금 얼마나 멋지게 변했을까

자야자야 명자야
불러샀던 아버지
약심부름에 반 의사됐고

자야자야 명자야
찾아샀던 어머니
팔다리 허리 주물러다 졸고

노을 저편에 뭉게구름 사이로
추억 별들이 반짝반짝 거리네
눈물 너머로 반짝반짝 거리네

자야자야 명자야 무서웠던 아버지
술 깨시면 딴사람 되고

자야자야 명자야 가슴 아픈 어머니
아이고 내 새끼 달래시며 울고

세월은 흘러 모두 세상 떠나시고
저녁별 되어 반짝반짝 거리네
눈물 너머로 반짝반짝 거리네

 

 

 

 

 

▼ 17시24분 두타산성에서 무릉계곡과 합류되어 무릉계곡주차장으로 이어간다. 용추폭포 왕복 할려면 40여분 이상 소요된다.

 

▼ 17시25분 두타산에서 무릉계곡이 합류된 다리를 건너면 관음폭포갈림길이다.

 

▼ 17시27분 관음폭포갈림길이다. 이정표거리 50m이다 왕복 10여분 소요된다.

 

▼ 17시22분 관음폭포다. 오전에 관음암에서 바라보던 그 암반계곡 방향과 일치한다.

 

▼ 17시34분 학소대를 거쳐 삼화사로 이어간다. 곧이어 삼화사를 지나 금란정으로 이어간다.

 

▼ 17시55분 삼화사 앞을 바람같이 지나간다 

 

▼ 17시56분 무릉계곡과 무릉반석을 멀리 쳐다본다.

 

▼ 18시00분 금란정과 무릉반석을 지나면 약 5분후 상가지역을 지나면 무릉계곡주차장이다.

 

▼ 17시56분 무릉계곡주차장에서 산행거리 21.8km 11시간06분 원점회귀 산행을 종료한다. 잠시 숨을 고른후, 내일 평창 오대산 산행을 위해 평창 진부면소재지로 차량이동한다.

※ Garmin gps와 Orux maps의 산행거리 오차  3.5km에서 평군속도 약 0.35km이다.   

 

 

 

~~~~~~~~~~~~~~~~~~~~~~~~~~~~~~~~~~~~~~~~~~~~~~~~~~~~~~~~~~~~~~~~~~~~~~~~~~~~~~~~~~~~~~~~~~~~~~~~~~~~~~~~~~~~~~~~~~~~~

 

 

▼ 18시54분 동해T.G에서 평창 진부면으로 차량이동한다 

 

▼ 19시18분 강릉J.C

 

 

♬ 음악 동영상 / 공

 

                   아티스트 나훈아

 

살다보면 알게 돼 일러주진 않아도

너나 나나 모두 다 어리석다는 것을

살다보면 알게 돼 알면 웃음이 나지

우리 모두 얼마나 바보처럼 사는지

잠시 왔다가는 인생

잠시 머물다 갈 세상

백년도 힘든것을 천년을 살것처럼

살다보면 알게 돼 버린다는 의미를

내가 가진 것들이 모두 부질 없단 것을

띠리 띠리띠리리리 띠 띠리띠 띠리

띠리 띠리띠리리리 띠 리띠리 띠디디

 

살다보면 알게 돼 알고싶지 않아도

너나 나나 모두 다 미련하다는 것을

살다보면 알게 돼 알면 이미 늦어도

그런대로 살만한 세상이라는 것을

잠시 스쳐가는 청춘 훌쩍 가버린 세월

백년도 힘든 것을 천년을 살것 처럼

살다보면 알게 돼 비운다는 의미를

내가 가진 것들이

모두 꿈이였다는 것을

모두 꿈이였다는 것을

띠리 띠리띠리리 띠 띠리리리리

띠리 띠리띠리띠리

띠리리 리리리리리

 

https://youtu.be/0hpS3AkQxBw

 

 

 

 

▼ 19시55분 평창 진부면소재지에서 내일 오대산 산행을 위해 알프스모텔에서 숙박한다 

 

 

 

▼ 동해 청옥산 두타산 무릉계곡 오룩스맵 트랙통계

 

▼ 동해 청옥산 두타산 무릉계곡 오룩스 맵 / 클릭확대

 

▼ 동해 청옥산 두타산 대형지도 / 클릭확대

 

 

 

7. 차량이동(올 때);

♤18:32 무릉계곡주차장→동해시 북삼동→18:54 동해T.G→동해고속도로(삼척-속초)→19:18 강릉J.C→영동고속도로→대관령터널→19:38 진부T.G→19:55 평창 진부면 진부전통시장앞(알프스모텔) 도착

♤차량이동시간; 1시간23분

♤차량이동거리; 94km<89,068km→89,162km>

 

8. 경비;

♧삼화사 관음암5,000원 알프스모텔(2박)80,000원 석식(갈비탕)9,000원 슈퍼10,000원

♧고속도로통행료(동해→진부) 4,400원

♧합계;

 

9. 특기사항; 내일 평창 오대산 산행 

 

10. 작성일자; 2018년5월26일(토) 10시45분 알프스모텔(평창 진부면 하진부리)에서.........

11. 작성자; *********************1538-18-27*************************************** 도시속의 野人 海廣

OruxMaps_2018-05-25 동해 청옥산 두타산 무릉계곡0649.zip
0.44MB
2018-05-25 동해 청옥산 두타산 무릉계곡(21.8km원점).gpx
0.2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