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배산(盃山) 둘레길 산제당
일자; 2011년 2월 9일(수) 날씨; 맑음과 연무
1. 산명; 배산(盃山)△253m(盃美山) 둘레길 산제당
2. 위치; 부산시 연제구 연산동
3. 인원; 청노루
4. 차량이동(갈 때);
▼ 부산 배산 둘레길 트랙지도
5. 산행코스; 원점회귀
♤10:45 자택→부산푸른도시가꾸기사업소<거울바위공원>→연천중학교→동서아파트→부산교원연수원입구→산길오름→11:05 무덤 및 전망의자→운동시설→11:12 제2봉→11:16 배산△256m<삼각점>→상부 배산둘레길→배산 정상→12:10 하부 배산둘레길→배산의 제일큰소나무→卍극락사→12:15 잔미산(盃美山) 산제당 참배(10분)→12:32 부산학생과학관→동서아파트→거울바위공원→12:45 자택도착
♤산행시간; 2시간00분
♤산행거리; 4.1km<MapSource 4.1km>
6. 트랙 2011-03-10 부산 배산 둘레길(4.8km).gpx
▼ 부산 배산 5만 지도
술잔을 엎어놓은 모양을 한 배산(盃山 255m)은 일명 잔미산이라고도 한다. 산 중턱에서부터 정상까지 나선형으로 쌓은 테뫼식 토성은 허물어졌으나 옛 거칠산국(居漆山國)의 유적으로 추정된다. 거칠산국 허물어진 토성지와 고총(古塚)을 보며 역사를 회고하면서 김상헌(金尙憲)의 시구가 떠오른다. ‘길가에 외로운 무덤하나 자손은 지금 어디에 있나’(路傍一孤塚 子孫今何處)
거칠산국은 부산 동래구와 경남 양산군 일부 지방에 자리 잡았던 초기국가의 하나로 장산국 또 는 내산국(萊山國)으로도 불렸으나 신라에게 정복되었다.『삼국사기』 "거도열전(居道列傳)"에는 신라 제4대 탈해왕때 거도(居道)라는 장수가 마숙놀이의 속임수를 써서 거칠산국을 정벌하여 신라에 병합하고 거칠산군을 두었다. 거칠산군은 경덕왕 때 동래군으로 개칭하였다.
배산은 고려조에는 선인 김겸효(金謙孝)가 기거했던 승경지라고 하여 겸효대(謙孝臺)로 불렸다. 겸호대는 해운대, 태종대, 오륜대, 몰운대(다대포), 의상대(범어사), 강선대(사상), 신선대(영도)와 함께 부산 8대로 꼽힌다.
산 정상에 서면 망망한 푸른 바다와 사방이 탁 트인 강구연월((康衢煙月 ; 사통팔달로 뻗은 거리에 밥짓는 연기가 피어오르는 평화로운 마을의 모습) 시가지의 수려한 경치는 여기가 바로 겸효대임을 넉넉히 짐작할 수 있다.
고려 중기 문벌귀족 사회도 기울어져 갈 무렵 의종의 이모부인 정서(鄭敍)가 반역에 가담되었다는 모함을 받고 의종 5년(1151년)에 동래 및 거제로 유배되었다. 동래 유배시에 그가 거처하던 곳이 바로 이 배산 기슭 과정로였다.
수영교차로~토곡사거리의 큰길을 과정로라고 이름 지은 연유가 여기에 있다. 정서의 유배지인 정과정(鄭瓜亭) 옛터는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의하면 동래현 남쪽 10리 지점으로 현재 연제구 연산9동 지역 내 온천천과 수영강이 합류되는 지점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는 인근의 전망 좋은 이 배산에 올라와서 먼 고려 서울 개성을 바라고 임금을 그리워하며 정과정곡을 구상하였을 것으로 짐작이 된다.
망미동 동명의 몇 가지 설중에는 ‘정서가 북향망미인(北向望美人, 미인=의종 임금)하였다’ 는데서 명명되었다는 것이다. 이 산을 시민의 휴식공원으로 가꾸고자 연제구 수영구 양개 구청에서 노력들을 많이 하였다. 1997년 말부터 불어 닥친 IMF구제금융기의 실업자 임시 취로사업 노동자들을 동원하였다. 노동자들이 가지치기한 어린 소나무의 모습은 담박하고 간결하게 윗둥만 덩그랗다. 마치 그들의 울분을 나무에게나 풀려는 듯 한 모습이다.
이 정자의 소박한 초가지붕의 모습이나 윗둥만 덩그란 소나무가 흡사하다. 햇순이 가지런하게 쑥쑥 자라고 향긋한 아카시아꽃 향기가 진동하는 호젓한 봄날이지만 느끼는 자에게는 그들의 아픈 마음의 상처가 찬 기운이 되어 소나무와 정자의 초가지붕에 어려 있어서 따뜻한 봄날도 사위어(식어) 가는 듯하였다.
▼ 배산
▼ 배산 2봉
▼ 배산 정상 / 겸효대(부산 8대)
▼ 배산 정상 삼각점
▼ 배산 정상(겸호대)에서 ..
▼ 배산 정상(겸호대)에서 ..
▼ 배산 정상(겸호대)에서 ..
▼ 배산 정상(겸호대)에서 ..
▼ 배산(겸호대)에서 ..
▼ 배산(겸호대)에서 ..
▼ 배산(겸호대)에서 ..
▼ 배산 둘레길에서 ..
▼ 배산에서 ..
▼ 배산 둘레길에서 ..
▼ 배산 소나무에서 ..
▼ 배산 극락사에서 ..
▼ 배산 산제당과 소나무에서 ..
▼ 잔미산 산제당에서 ..
▼ 잔미산 신령대성전
▼ 잔미산 산제당 찬모금 내역
▼ 잔미산 산제당을과 주변소나무
▼ 잔미산 산제당 소나무
▼ 부산학생과학관에서 장산
7. 차량이동(올 때);
8. 경비;
9. 특기사항
1)오늘(Y은 삼보사찰) 잔미산(盃美山) 산제당에서 올 한 해의 가정 무탈을 기원 할 겸하여 신묘년에 처음으로 에 올랐다.
2)오전 10시30분에 어머님을 경로당에 모셔드리고 어린시절에는 놀이터 였고 생활근거지였던 배산(盃山)산행을 한다.
10. 작성일자; 2011년2월9일(수)15시15분 자택에서.............
11. 작성자; *********************720-11-07******************* 도시속의 野人 海廣
'산행기록1 (2010년~2019년) > 부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장산 허리순환길 (0) | 2013.03.12 |
---|---|
부산 영도 봉래산 둘레길 절영해안 (0) | 2011.10.03 |
부산 회동수원지 산책로 부엉산(오륜대) 윤산 (0) | 2011.09.30 |
부산 금정산 남근바위 여근바위 (0) | 2011.08.18 |
부산 회동동 아홉산 수변산책로 (0) | 201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