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오대산(五臺山) 노인봉(老人峰) 소금강(小金剛)계곡
일자; 2018년 11월 4일(일) 날씨; 맑음
1. 산명; 오대산(五臺山) 노인봉(老人峰)△1338.1m~소금강(小金剛)계곡
2. 위치;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병내리 진고개휴게소
3. 인원; 항도산악회 45명(송재붕)
4. 차량이동(갈 때);
♤06:03 도시철도 시청역 앞<산악회관광버스>→06:35 대동T.G→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07:34 동대구J.C→경부고속도로→금호J.C→중앙고속도로(춘천-금호)→08:03 군위휴게소(10분)→09:03 죽령터널→09:39 치악휴게소(10분)→10:01 만종J.C→영동고속도로→10:45 진부T.G→월정삼거리→병안삼거리(평창 진부면)→11:09 진고개휴게소 도착
♤차량이동시간; 5시간06분
♤차량이동거리; 약 421km
▼ 평창 오대산 노인봉 소금강계곡 트랙지도 / 클릭확대
5. 산행코스;
♤11:16 진고개휴게소→11:21 진고개고위평탄면→11:42 안전쉼터→11:58 ×1243봉→12:22 노인봉삼거리→12:28 오대산(五臺山) 노인봉(老人峰)△1338.1m(10분) 빽→12:41 다시 노인봉삼거리→12:42 노인봉무인관리대피소(점심10분)→13:14 백마봉갈림길→13:16 데크계단(급경사)→소금강(小金剛)계곡→13:50 낙영폭포→14:17 사문다지→14:19 오작담→14:29 광폭포→14:41 삼폭포→14:48 백운대→14:55 만물상→15:03 귀면암.일월암→15:20 학유대→15:27 입산통제소→15:28 구룡폭포→15:43 삼선암→15:46 식당암→15:50 卍금강사→15:53 연화담→16:00 십자소→16:07 구청학산장(이정표)→16:13 무릉계(소금강표석)→16:20 소금강분소→16:25 소금강자동차야영장→16:36 소금강대형주차장(강릉 연곡면 삼산리) 도착
♤산행시간; 5시간20분
♤산행거리; 16.6km<Gpsmaps 15.0km>
6. 트랙
▼ 평창 오대산 노인봉 소금강계곡 오룩스 맵 / 클릭확대
▼ 평창 오대산 노인봉 소금강계곡 오룩스 맵 / 클릭확대
▼ 평창 오대산 노인봉 소금강계곡 10만 지도 / 클릭확대
진고개는 비만 오면 질퍽거릴 정도로 땅이 질어서 붙은 이름인데 지금은 도로포장과 등산로 정비로 더 이상 '진고개'가 아니다. 진고개 자체가 해발 960m로 노인봉까지 오르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는 편이다.
▼ 11시16분 진고개휴게소에서 산행이 시작된다. 약4km 백두대간 능선을 따라 노인봉 정상까지 이어진후 백두대간을 벗어난다.
▼ 11시18분 능선길 좌측으로 오대산 비로봉에서 흘러오는 백두대간을 바라보면 곧이어 진고개고위평탄면 안내판을 만나는데 이지역이 예전에는 화전민이 살았다고한다.
▼ 11시25분 능선길 좌측 백두대간에서 만월지맥이 분기되어 북쪽 만월산으로 흘러들어가고 10여분후 데크계단을 오르면서 된비알이 이어진다.
♬ 음악 동영상 / 방울새
방울새
아티스트 방주연
새야 새야 방울새야
꽃가지에 앉지마라
우리님이 오시면 보여드린단다
꽃향기 맡고서
우리님이 오시면
너랑 나랑 둘이서 마중 나가자
새야 새야 방울새야
꽃가지에 앉지마라
우리님이 오시면
보여 드린단다
꽃소식 듣고서
우리 님이 오시면
너랑 나랑 둘이서 마중 나가자
해지면 가자
▼ 11시42분 안전쉼터에서 잠시휴식을하는 등산객들 .. 나의 친구도 ..
▼ 11시58분 1243봉이다. 노인봉 정상까지는 능선에서 조금 벗어나 사면길이 노인봉삼거리까지 이어진다.
▼ 12시22분 노인봉삼거리다. 0.2km거리에 있은 노인봉 정상 다녀와서 소금강계곡으로 이어간다. 19년전 산악회의 코스에서 벗어나 소황병산 들런후 선녀탕계곡으로 해서 만물상에서 소금강계곡 합류 했던 추억이 아련하다.
▼ 12시27분 노인봉 정상 아래에서 백마봉 방향은 금줄이 쳐져있고 우측 바위오르면 정상이다. 헌데 이정표을 보면 진고개에서 소금강분소까지 14.3km인데 실거리와는 1km이상 적게 표시되 도상거리로 생각된다.
※ 노인봉은 화강암으로 이뤄진 정상이 멀리서 보면 백발노인의 형상을 지녔다 해 그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정상에서는 강릉과 주문진 시내, 그리고 그 너머 동해바다를 시원하게 조망할 수 있다.
▼ 12시28분 오대산 노인봉 1338m 정상이다. 19년만에 다시 찾아들었다 그땐 부산에서 무박산행으로 가능하여 노인봉 정상에서 일출을 맞이했다.
▼ 12시34분 오대산 노인봉 1338m 정상에서 10여분 19년전 추억과 조망과 찰영으로 시간을 보낸후 노인봉삼거리로 되돌아간다.
▼ 12시35분 노인봉 정상에서 서쪽은 백두대간 오대산 비로봉으로 흘러가고 북쪽은 백마봉 동해 ..
▼ 12시36분 노인봉 정상에서 동쪽으로 소황병산 그뒤 매봉 천마봉이 숨어있고 우측으로 황병산이 이어진다.
▼ 12시36분 노인봉 정상에서 바라보는 소황병산이 머리를 조금 드러내고 우측으로 황병산 정상에는 군 부대 조준점이 노인봉 정상 바위에 표시되어있다.
▼ 추억의 포토 / 1999년5월23일 노인봉 정상표석은 변함없이 오늘 내가 와 주길 기다리고 있어나 보다. 이땐 노인봉 정상에서 일출을 맞이했다.
▼ 추억의 포토 / 1999년5월23일 소황병산 정상은 00목장의 초지였다. 소황병산에서 선녀탕계곡으로 접어들어 소금강계곡 만물상에서 합류하였던 추억의 순간 ..
♬ 음악 동영상 / 천년만년 살고 지고
천년만년 살고 지고
아티스트 실과 바늘
여보 내가 지난날을 뒤돌아보니
당신에게 잘못한 게 너무 많구려
아니에요 무슨 말씀 고마운 말씀
나도 너무 부족 했어요
당신을 만나 사랑을 하고
아름다운 동반자로 살아온 세월
우리 이제 용서하고 이해하면서
천년만년 살고 지고
여보 나도 지난날을 뒤돌아보니
당신 만나 힘든 일도 참 많았네요
그래요 미안하오 사는날 까지
아낌없이 사랑하리다
당신을 만나 사랑을 하고
아름다운 동반자로 살아온 세월
우리 이제 용서하고 이해하면서
천년만년 살고 지고
여보 내가 지난날을 생각해 보니
당신에게 잘해준 게 하나 없구려
아니에요 무슨 말씀 천만의 말씀
당신 있어 행복합니다
당신을 만나 사랑을 하고
아름다운 동반자로 살아온 세월
우리 서로 의지하고 사랑하면서
천년만년 살고 지고
여보 나도 지난날을 생각해보니
당신 만나 좋은 일도 참 많았네요
그래요 고맙구려 사는 날 까지
아낌없이 사랑하리다
당신을 만나 사랑을 하고
아름다운 동반자로 살아온 세월
우리 서로 의지하고 사랑하면서
천년만년 살고 지고
당신을 만나 사랑을 하고
아름다운 동반자로 살아온 세월
우리 서로 의지하고 사랑하면서
천년만년 살고 지고
천년만년 살고 지고
천년만년 살고 지고
헤이 헤이 에헤이
▼ 12시41분 노인봉삼거리로 되돌아와서 노인봉을 우회하여 소금강계곡으로 이어간다.
※ 이제 하산길. 노인봉삼거리로 내려와 소금강 분소(탐방지원센터)로 향하면 곧 노인봉무인관리대피소를 만난다. 20여분 만에 백마봉갈림길까지 내려온다. 고도가 낮아지기 시작하면서 숲은 더욱 우거지고 아름드리나무들이 많아진다. 백마봉갈림길에서 '낙영폭포 언덕' 까지는 약 30분 거리다.
이곳에서 나무계단을 내려서면 곧 2단폭포인 낙영폭포를 만난다. 낙영폭포는 철계단을 내려서서 아래에서 보는 폭포가 더 멋있다.
7분여 더 내려가면 나무다리를 지난다. 이어 15분 정도를 더 가면 2개의 철다리를 지난다. 이곳에서 10여분을 더 내려가면 광폭포가 있다. 큰 바위를 옆으로 흘러내리는 폭포가 기묘하다.
광폭포를 지나 구름다리를 두 차례 건너면 삼폭포를 만난다. 삼폭포에서 5분여 내려오면 소금강의 하이라이트가 시작되는 백운대다. 넓게 펼쳐진 계곡에 집채만 한 큰 바위가 가마솥처럼 덩그러니 놓여 있다. 주위의 단풍나무들과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 같다.
백운대 부터는 주위 풍광이 카메라만 들이대면 엽서가 만들어질 정도다. 바위들이 마치 꿈틀대듯 솟아올라 봉우리를 만들고 앞을 가로막는 절벽들은 제각각의 형상을 가진 거대한 병풍과 같다. 계곡물과 바위틈에 솟은 나무들은 이곳 만물상의 그림을 완성시켜 주고 있다.
▼ 12시42분 노인봉무인관리대피소에서 점심을 즐기는 산객들과 어울려 친구와 함께 밥을 먹고나니 10여분이 훌쩍 지나간다.
▼ 12시59분 탐방로는 대피소에서 다시 능선으로 올라온다.
▼ 13시02분 노인봉 정상에서도 잘 잡히지 않은 오대산 비로봉이 젤 조망이 좋은 능선에서 잠시 시간을 보낸다.
▼ 13시11분 오대산 두로봉에서 북쪽으로 설악산이 아스라이 조망된다.
▼ 13시09분 노인봉에서 백마봉으로 이어지는 능선길 .. 얼마후 우측 소금강으로 이어진다.
▼ 13시14분 갈림길 목책을 넘어 이어지는 백마봉 능선 아쉬움을 뒤로하고 우측 급경사 작은 지능선을 타고 소금강계곡으로 나무계단과 함께 내려간다.
▼ 13시17분 소금강으로 이어지는 급경사 지능선 .. 30여분 내려가면 소금강계곡과 합류된다.
▼ 13시19분 더 고도가 낮아지면 볼수없은 소황병산과 황병산 능선 ..
▼ 13시34분 나무계단과 급경사은 끝나고 잠시 순탄한능선에서 소금강계곡을 만난다.
▼ 13시43분 좌우측에서 계곡수 흐르는 소리가 두귀을 청아하게 하면서 낙영폭포에 가까워 진다.
♬ 음악 동영상 / 붓
붓
아티스트 양지은
힘겨운 세월을 버티고 보니
오늘 같은 날도 있구나
그 설움 어찌 다 말할까
이리 오게 고생 많았네
칠십년 세월
그까짓 게 무슨 대수요
함께 산 건 오천년인데
잊어버리자 다 용서하자
우린 함께 살아야 한다
백두산 천지를 먹물 삼아
한 줄 한 줄 적어나가세
여보게 친구여
붓을 하나 줄 수 있겠나
붓을 하나 줄 수 있겠나
칠십년 세월
그까짓 게 무슨 대수요
함께 산 건 오천년인데
잊어버리자 다 용서하자
우린 함께 살아야 한다
한라산 구름을 화폭 삼아
한 점 한 점 찍어나가세
여보게 친구여
붓을 하나 줄 수 있겠나
여보게 친구여
붓을 하나 줄 수 있겠나
붓을 하나 줄 수 있겠나
▼ 13시50분 낙영폭포 상단부에서 소금강분소 7.5km이정표를 만난다. 조금 더 내려가면 하단부 낙영폭포다.
▼ 13시51분 낙영폭포 하부
▼ 15시15분 계곡을 건너는 곳엔 철다리 나무다리가 존재하면서 계곡을 따라 내려가면 절경을 자꾸 만난다.
▼ 14시18분 소금강계곡 사문다지
※ 해발(海拔)658m 지점(地點)에 위치(位置)한 이곳의 ‘사문(四門)다지’란 이름은 "사문(四門)닫이"를 소리나는 대로 적은 것인데,
"사문(四門)다지"란 ‘네 개의 門을 연상(聯想)케 하는 암벽 계곡(巖壁 溪谷)이 사방을 둘러싸서 그 공간(空間)이 막혀 있다는 의미이고, 따라서 그 四門다지 속에는 천혜(天惠)의 비경(秘境)이 숨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한편, 이곳은 마귀(魔鬼)할미가 사재석문(石門)을 달고 외적(外敵)을 물리쳤다고 하여 "사석철문(四石鐵門)"이라고도 하는데, 100m 이상(以上) 되는 절벽(絶壁) 기둥에 돌(乭)쩌귀가 보이는 듯하다.
▼ 14시19분 사문다지에서 이어지면서 내려오면 표식이 없은 沼가 두어군데 있은데 지도에 표기된 오작담이 아닌가 쉽다.
▼ 14시30분 광폭포다. 이어서 10여분 내려가면 삼폭포를 만난다.
▼ 14시31분 광폭포의 푸른 물빛에 함 젖어본다.
▼ 14시42분 해발 631m에서 만나는 물이 세번을 굽이쳐 흐르는 삼폭포와 함께 한다.
▼ 14시45분 절경을 이루는 소금강계곡의 물길을 따라 나도 흐러고 너도 흘러간다.
▼ 14시48분 거대 암반 백운대에 이른다.
▼ 14시54분 백운대를 뒤로하고 푸른물결과 함께 만물상으로 찾아들어간다.
▼ 14시55분 만물상이다. 형형색색 없은것 빼고 다 있은것 같은 모습들이 기기묘묘한 형상을 연출한다.
※ 주위풍광에 넋을 잃고 앞으로 나아가다 보니 구름다리를 지나 만물상 안내판이 서 있다. 이곳에서 뒤돌아보니 거대한 사람의 얼굴 형상인 기암 봉우리가 솟아있다. 귀면암, 촛대봉, 거인봉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이곳에서 예전에 학이 노닐었다는 학유대까지는 약 10분 거리다. 학유대에서 5분이면 공원지킴터가 나오고, 이곳에서 다리를 건너면 바로 구룡폭포다. 금강산의 구룡폭포와 그 모습이 흡사해 제2의 금강산이란 이름으로 불리도록 만든 주인공이다.
▼ 14시56분 만물상
▼ 14시58분 만물상 귀면암 촛대봉 ..
▼ 15시00분 만물상 구름다리 ..
▼ 15시04분 만물상의 귀면암과 일월암
▼ 15시07분 만물상 구간을 벗어나면서 뒤돌아본 귀면암 ..
▼ 15시12분 만물상에서 학유대 중간에 지도표기 구곡담이 여기인가 보다.
♬ 음악 동영상 / 내청춘
내靑春
아티스트 나훈아
강물이 흘러서 간다
끝없이 흘러서 간다 저 넓은 바다로
저 깊은 바다를
채울 때까지 흘러 간다
세월이 흘러서 간다
덧없이 흘러서 간다
어디로 가는 건지 저 혼자 가면 되지
나까지 등 떠밀고 간다
아까운 건 없는데
아쉬운 것 딱 하나 못 다한 내 젊음
아 내 청춘
자꾸만 눈물이 난다
울만한 일도 없는데
서산에 지다 말고 숨 고르는 노을이
눈물을 자꾸 부추긴다
강물이 흘러서 간다
끝없이 흘러서 간다
어디로 가는 건지 저 혼자 가면 되지
나까지 등 떠밀고 간다
아까운 건 없는데
아쉬운 것 딱 하나 못 다한 내 젊음
아 내 청춘
자꾸만 눈물이 난다
울만한 일도 없는데
서산에 지다 말고 숨 고르는 노을이
눈물을 자꾸 부추긴다
눈물을 자꾸 부추긴다
눈물을 자꾸 부추긴다
▼ 15시21분 바위을 포개어 놓은듯한 모습을 연출하는 학유대다. 그아래 암반 위로 유유히 흘러가는 암반수에 소금강분소가 3.3km 거리에 있다.
▼ 15시23분 계곡 암반길에서 잠시 벗어나 소나무향 짖은 숲길을 걷은다.
▼ 15시27분 공원지킴터를 지나면 구룡폭포가 이어진다.
▼ 15시28분 하부 구룡폭포다. 이어서 상부로 만나게 된다.
※ 구룡폭포에서 신라의 마지막 왕자인 마의태자가 나라를 일으키기 위해 군사들을 훈련시키다 식사를 했다는 식당암까지는 15분여 거리. 그동안 절경은 계속 이어진다. 식당암을 지나면 소금강의 유일한 사찰인 금강사를 곧 만난다. 단풍이 곱게 물든 금강사의 고요한 자태가 아름답다.
연화담과 십자모양의 십자소를 지나 20여분 만에 무릉계로 내려온다. 무릉계 아래로도 외소금강이라 하여 비경이 펼쳐지지만 이곳부터는 상가가 형성돼 있다. 상가를 따라 500여m 아래 소금강 분소 지나 공사구간을 우회 소금강자동차야영장으로 해서 대형버스주차장에서 산행은 마무리된다.
▼ 15시30분 구룡폭포 상단부에서 다람쥐 한마리가 쫄랑졸랑 거리며 산객을 맞이한다.
▼ 15시41분 구룡폭포에서 좌측에 계곡을 두고 우측으로 고개 넘어 계곡으로 내려가면 삼선암을 만난다.
▼ 15시43분 삼선암이다.
▼ 15시43분 삼선암 암반에 흐르는 계곡수를 바라보면 식당암이 가까이 닥아온다.
▼ 15시46분 해발 311미터에 위치한 식당암에 이른다.
▼ 15시48분 식당암을 뒤로하고 금강사로 향한다.
▼ 15시50분 소금강계곡의 유일한 사찰 금강사에 이른다.
▼ 15시53분 금강사에서 벗어나면 만나는 연화담이다. 이어서 소금강의 협곡 암반이 이어지다 무릉계에 이른다.
▼ 15시58분 소금강 협곡
▼ 16시00분 탐방로 우측 아래 십자소를 지난다.
▼ 16시08분 구청학산장 이정표를 지나면 계수대 공원지킴터에서 소금강표석 만나면서 넓은길이 이어진다.
♬ 음악 동영상 / 찔레꽃
찔레꽃
아티스트 백난아
<1절
찔레꽃 붉게 피는 남족나라 내고향
언덕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자주고름 입에물고 눈물 젖어
이별가를 불러주던 못잊을 사람아
(2절
달뜨는 저녘이면 노래하던 새동무
철리객장 북극성이 서럽습니다
작년봄에 모여 앉아 매일같이
하염없이 바라보니 즐거운 시절아
▼ 16시13분 해발 270m 소금강표석 무릉계에서 600미터 진행하면 소금강분소에 이른다.
▼ 16시17분 상가지구
▼ 16시20분 오대산국립공원 소금강분소 이후 공사구간이라 자동차야영장으로 우회하여 이동한다.
▼ 16시25분 공사구간을 우회 소금강자동야영장을 지난후 아스팔트포장도로 따라 주차장으로 향한다.
▼ 16시36분 소금강대형주차장에서 산행거리19.9km 5시간20분 산행을 종료한후 약 40여분후 항도산악회버스는 오대산 소금강을 뒤로하고 차량이동햐여 원주에서 저녁먹고 부산으로 이어간다.
※ 산행거리 10km 기준에서 Gps 기기에 따라서 약1.0km 정도 차이가 나타나며 Gpsmaps에서는 0.5km 정도 편차가 발생된다.
▼ 평창 오대산 노인봉 소금강계곡 오룩스맵 트랙통계
▼ 오대산 노인봉 소금강계곡 오룩스맵 / 클릭확대
▼ 오대산 소금강 산행지도 / 클릭확대
▼ 오대산 노인봉 대형지도 / 클릭확대
7. 차량이동(올 때); 저녁식사42분(원주시 태장동)
♤17:20 소금강주차장(강릉 연곡면 삼산리)→17:49 진고개→18:07 평창 진부→18:13 속사T.G→영동고속도로→18:40 횡성휴게소(10분)→19:18 미가일식당 석식42분(원주시 태장동)→만종J.C→중앙고속도로(금호-춘천)→죽령터널→22:05 동명휴게소(10분)→22:20 금호J.C→경부고속도로→동대구J.C→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23:18 대동T.G→만덕터널→23:40 도시철도 시청역 앞 도착
♤차량이동시간; 6시간20분
♤차량왕복이동거리; 약 805km
8. 경비;
♧회비 35,000원
9. 특기사항
10. 작성일자; 2018년11월5일(월) 20시25분 자택에서.........
11. 작성자; *********************1577-18-66****************** 도시속의 野人 海廣
'산행기록1 (2010년~2019년) > 강원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선 노추산 사달산 모정탑길 (0) | 2019.06.02 |
---|---|
홍천 가리산 등잔봉 새득이봉 (0) | 2018.11.19 |
양양 설악산 대청봉 공룡능선 설악동 (0) | 2018.10.23 |
평창 태기산 옹장골 평창효석문화제(메밀꽃축제) (0) | 2018.09.03 |
인제 설악산 한계령 귀때기청봉 대승령 장수대 <서북능선> (0) | 2018.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