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 (2020년~/2020년도 산행리포트(부산)

부산 구덕산 시약산 승학산 에덴공원 을숙도

靑谷 2020. 9. 21. 20:02

부산 구덕산(九德山) 시약산(時藥山) 승학산(乘鶴山) 에덴공원 을숙도(乙淑島)

일자; 2020년 9월 20일(일) 날씨; 맑음

 

1. 산명; 시약산(時藥山)△510m~구덕산(九德山)△560m~승학산(乘鶴山)△497m~에덴공원~을숙도(乙淑島)생태공원

2. 위치; 부산시 사하구 괴정동 괴정역(부산1호선)

3. 인원; 청노루

 

4. 차량이동(갈 때);

♤05:54 자택→54번 시내버스→06:08 연산역→부산1호선→06:48 괴정역 도착

♤차량이동시간; 00시간54분

♤차량이동거리; 약 19.6km

 

 

▼ 부산 구덕산 시약산 승학산 에덴공원 을숙도 트랙지도 / 클릭확대

 

 

 

5. 산행코스;

♤06:55 괴정역 1번 출구→07:00 민헤어아트→07:03 괴정한신아파트→07:06 산길진입→07:15 삼각점(164m)→07:24 216.1봉→07:26 사거리→07:38 한샘돌탑(사거리)→07:42 한샘약수터→07:51 ×406.3봉→07:58 사거리(임도)→08:24 시약산(時藥山)510m(부산기상레이더관측소)→08:27 낙동정맥갈림길→08:32 시약정→08:51 구덕산 정상석(삼각점)→08:53 항공무선표지소울타리→09:02 구덕산(九德山)560m(부산항공무선표지소)→09:12 깔닥고개→09:21 ×487.7봉(헬기장)→09:35 승학문화마루터(사거리)→09:44 학장동갈림길→09:47 ×439.1봉(헬기장)→09:52 엄궁동갈림길→10:12 승학산(乘鶴山)497m(삼각점 10)→10:33 건국고갈림길→10:40 정각사갈림길→11:06 이정표삼거리→11:10 하단동주택가→11:19 에덴공원 앞 회단보도→11:25 에덴공원 체력단련장→11:34 에덴공원49m→11:27 에덴공원 청마시비→11:48 하단가락타운1단지아파트→11:54 낙동강하구둑→12:06 을숙도(진입)→12:09 낙동강하구둑전망대→12:15 을숙도생태공원 일주→12:29 북단전망대→13:00 낙조정→13:05 하늘도로→13:11 피크닉광장→13:22 낙동강하구에코센터→14:07 을숙도대교 밑→14:17 남단 조류관찰소→14:31 낙동강하구탐방체험장→14:33 을숙도대교 밑→15:09 을숙도(문화회관)버스정류장(부산 사하구 하단동) 도착

♤산행시간; 8시간14분

♤산행거리(Gps); 23.0km<Map 21.7km>

 

 

6. 트랙

2020-09-20 부산 구덕산 시약산 승학산 에덴공원 을숙도(21.7km).gpx
0.44MB
OruxMaps_2020-09-20 065139 부산 구덕산 시약산 승학산 에덴공원 을숙도(20.2km).zip
6.92MB
부산 승학산~구덕산 야간산행.gpx
0.20MB
부산 승학산894seunghaksan.gpx
0.14MB

 

 

        

▼ 부산 구덕산 시약산 승학산 에던공원 을숙도 산행지도 / 클릭확대

 

▼ 부산 구덕산 시약산 승학산 에덴공원 을숙도 10만 지도 / 클릭확대

 

  도시산꾼

 

백원짜리 물고기요리를 먹느니 보다 백만원짜리 곰의 웅장을 먹겠다.

- 노산 이은상 선생; 1903~1982. 시인. 문학박사. 경남 마산 출생 -

 

 

 

▼ 06시55분 도시철도 괴정역 1번 출구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시약산 정상까지는 1시간30분 정도 걸린다

 

▼ 06시55분 세왕마트 앞에서 빵2개 구입하고, 오른쪽으로 2~3분 정도 올라가다 왼쪽으로 방향을 튼다

 

▼ 07시00분 민 헤어아트 앞에서 왼쪽 골목으로 방향을 틀어 3분이면 괴정한신아파트에 도착한다  

 

▼ 07시02분 왼쪽으로 휘어져 합천반점 앞으로 올라가면 괴정한신아파트에 당도한다

 

▼ 07시3분 괴정한신아파트 입구에서 계단으로 3분 정도 올라가면 산길로 접어든다

 

▼ 07시06분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되고 갈림길에서 오른쪽 능선으로 올라간다

 

▼ 07시15분 등산로에서 조금 벗어나 눈에 잘 보이지 않은곳에 삼각점을 발견한다. 고도 164m 정도 된다

 

▼ 07시23분 216.1봉은 오른쪽으로 살짝 우회하게 된다

 

▼ 07사25분 이정표사거리에서 직진 한샘약수터 방향이다. 사거리 지나면 둘갈길 오른쪽은 능선길 왼쪽은 넓은길이고 한샘돌탑에서 합류된다

 

▼ 07시32분 왼쪽 넓은길

 

▼ 07시38분 한샘돌탑이고, 이어서 사거리갈림길에서 능선으로 오른다

 

▼ 07시40분 왼쪽 마골목장성지에서 올라오는길과 합류된다

 

 

♬ 음악 동영상 / 모란동백

https://youtu.be/5uPLL5ctVeA

모란동백

                         아티스트 나훈아

 

모란은 벌써 지고 없는데

먼 산에 뻐꾸기 울면

상냥한 얼굴 모란 아가씨

꿈속에 찾아오네

세상은 바람 불고 고달파라

나 어느 변방에 떠돌다 떠돌다

어느 나무 그늘에

고요히 고요히 잠든다 해도

또 한 번 모란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동백은 벌써 지고 없는데

들녘에 눈이 내리면

상냥한 얼굴 동백 아가씨

꿈속에 웃고 오네

세상은 바람 불고 덧없어라

나 어느 바다에 떠돌다 떠돌다

어느 모랫벌에

외로이 외로이 잠든다 해도

또 한 번 동백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또 한 번 모란이 필 때까지

나를 잊지 말아요

나를 잊지 말아요

 

 

 

 

 

▼ 07시42분 한샘약수터에 당도하고, 직전에 어정표사거리가 있다

 

▼ 07시43분 한샘약수터에서 체육시설 옆 능선으로 8분 정도 올라가면 헬기장과 406.1봉을 만난다

 

▼ 07시51분 406.1봉이고 왼쪽 아래에 헬기장이 있다

 

▼ 07시51분 406.1봉에서 바라본 시약산 ..

 

▼ 07시58분 화장실과 이정표가 있은 사거리다  

 

▼ 08시04분 지나온능선과 조망이 트이기 시작한다

 

▼ 08시06분 조망바위에서 왼쪽 용호동 장산봉에서 오른쪽 승학산까지 조망된다

 

▼ 08시11분 이어서 조망바위가 또 나타난다

 

▼ 08시11분 조망바위에서 동영상 장자산에서 승학산 까지~~

 

 

 

▼ 08시19분 가야할 시약산 정상의 기상레이더관측소

 

▼ 08시22분 시약산 510m 정상이다. 기상레이더관측소

 

▼ 08시24분 시약산 510m 정상석

 

시약산의 ‘시(蒔)’ 자는 한자로 ‘모종낼 시’, ‘풀이름 시’를 사용한다. 명확하게 전해 내려오는 지명 유래는 없지만, 약초를 심거나 채취한 곳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시약산은 금정산맥의 남단으로, 북동쪽에 구덕산이 있다. 산정은 종순형이며 산록은 완만하다. 지질은 안산암질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 산록에서 괴정천이 발원하여 낙동강으로 합류한다.

 

고도 510m의 시약산은 부산광역시 사하구와 서구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산 정상에는 기상 관측 레이더가 있고, 시약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이 정자에서 내려다보면 낙동강 하구 일대와 부산항이 한눈에 조망된다. 시약산 밑으로 서구와 사하구를 잇는 대티 터널이 통과한다.

 

 

▼ 08시25분 시약산 510m 정상표석과 함께 .. 시약산 정상에서 구덕산 정상 부산항공무선표지소까지는 30분이면 충분한 거리다

 

▼ 08시26분 시약산 정상에서 용호동 장자산 부터 오른쪽으로 승학산 까지 조망 ~~ 부산항과 부산항대교

 

▼ 08시26분 시약산 정상에서 영도 남항대교와 옥녀봉 낙동정맥 능선 ..

 

▼ 08시26분 시약산 정상에서 몰운대로 흘러가는 낙동정맥은 도심구간

 

▼ 08시26분 낙동강하구 모레톱과 승학산 까지 .. 조망후 시약산 정상에서 자리를 뜬다

 

▼ 08시27분 낙동정맥 능선 갈림길에서 5분 정도 진행하면 시약정으로 이다

 

▼ 08시32분 시약정에서 주변 조망을 살펴본다

 

▼ 08시33분 시약정에서 구덕꽃마을 방향

 

▼ 08시33분 시약정에서 가야할 구덕산

 

▼ 08시35분 시약정 작은바위에 올라 동영상으로 주변풍경

 

 

 

▼ 08시40분 시약정에서 지나온 기상레이더관측소

 

▼ 08시47분 시약정을 벗어나 구덕산 정상으로 이어간다

 

▼ 08시51분 구덕산 565m 정상석과 삼각점 / 지도 구덕산 정상은 부산 항공무선표지소가 위치하고 있다

 

▼ 08시52분 구덕산 565m 정상석과 함께 ..

 

▼ 08시56분 구덕산 정상석에서 지도 구덕산 정상으로 이어가는 항공무선표지소 위험한 웉타리을 지나야 한다

 

▼ 08시57분 부산항공무선표지소 울타리에서 조망 .. 영도 봉래산과 남항대교 지나서 천마산

 

▼ 08시57분 부산항공무선표지소 울타리에서 구봉산과 구덕운동장 영도 봉래산

  

▼ 추억의 포토 / 2000년9월28일 구덕산에서 구덕운동장과 부산항 풍경

 

▼ 08시58분 부산무선항공표지소 울타리에서 금정산과 백양산 그리고 엄광산 능선이 학장동으로 ..

 

▼ 08시58분 엄광산과 구덕꽃마을 풍경 .. 멀리 달음산 까지

 

▼ 08시58분 엄광산에서 흘러내려가는 능선이 구봉산 ~ 용두산공원까지

 

▼ 08시59분 구덕산 항공무선표지소 울타리에서 동영상으로 주변풍경

 

 

 

▼ 09시01분 울타리에서 조망을 접고, 오른쪽으로 내려가면 구덕꽃마을 엄광산으로 이어지고 왼쪽은 승학산으로 이어진다. 양쪽다 급경사 내리막길이다  

 

▼ 09시02분 구덕산 560m 정상에 자리잡은 부산항공무선표지소

 

구덕산(九德山)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두송산이라는 이름으로 확인되며, 『초량 화집(草梁話集)』[1800년대 말]에는 구덕산(九德山)으로 확인[2개의 산 이름에 모두 구덕사(九德寺)라는 절이 있다고 기록]되어 지명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구덕산이라는 지명은 산에 있던 구덕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구덕(九德)’은 인간이 갖추어야 할 9가지 덕[충(忠), 신(信), 경(敬), 강(剛), 유(柔), 화(和), 고(固), 정(貞), 순(順)]으로, 불교에서는 부처만이 구덕을 갖추었다고 한다.

 

금정산맥의 말단부에 해당되는 산이다. 산정은 종순형이며 산록은 대체로 완만하다. 북동쪽으로는 엄광산·백양산·상계봉에 연결되어 금정산의 고당봉으로 이어지고, 남서쪽으로는 시약산과 승학산으로 이어진다. 구덕산 주변 지질은 안산암질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금부터 6,000만~7,000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뒤 차별 침식[암석의 단단하고 무른 차에 따른 침식의 차가 발생]을 받아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해발 562m인 구덕산의 동남쪽 사면에서 보수천이 발원하며, 동쪽 산록에는 부산 최초의 상수도 급수원인 구덕 수원지가 있었다. 부산장과 구포장·사상장을 왕래하는 교통로였던 구덕령이 있으며, 이곳에 구덕 터널이 개통되어 있다. 산록에 구덕 마을이 있다. 북쪽 사면에는 학장천이 흐르며 그 기슭에는 구덕사가 있었다고 한다. 승학산과 구덕산에 이르는 제석 계곡은 경치가 아름다워 등산객들과 시민들이 즐겨 찾고 있다.

 

 

▼ 09시02분 구덕산 560m 정상 .. 부산항공무선표지소을 뒤로하고 승학산으로 이어간다. 승학산 정상까지는 1시간10여분 소요된다

 

▼ 09시03분 구덕산 정상에서 가야할 승학산 능선 1

 

▼ 09시03분 구덕산 정상에서 가야할 승학산 능선 2 .. 487.7봉은 헬기장과 깔딱고개전망대가 있은데 자칫 노치기 싶다

 

▼ 09시03분 구덕산 정상에서 승학산 능선 3 .. 엄궁동 학장동으로 흘러가는 승학산능선 모습

 

▼ 09시07분 구덕산 정상에서 깔딱고개로 이어가는 능선 내리막길

 

▼ 09시12분 깔딱고개에 당도한다. 가야할 방향은 능선으로 오른다

 

▼ 08시17분 좋은길에서 오른쪽 샛길로 접어들면 487.7봉 정상 헬기장과 깔딱고개전망대을 만날 수 있다

 

▼ 09시21분 487.7봉 헬기장에서 깔닥고개전망대로 이어간다

 

▼ 09시23분 깔딱고개전망대

 

▼ 09시27분 깔딱고개 전망대에서 가야할 능선

 

▼ 09시35분 승학문화마루터 / 사거리에 이정표 쉼터평상 등등 있다

 

▼ 09시39분 승학산 억새능선

 

▼ 09시44분 오른쪽으로 엄궁동 코오롱아파트와 학장동 대림아파트가 이어진다

 

 

♬ 음악 동영상 / 돌아오라 쏘렌토로

돌아오라 쏘렌토로

               아티스트 이미자

 

아름다운 저 바다여

그리운 그 빛난 햇빛

내 맘 속에 잠시라도

떠날 때가 없도다

향기로운 꽃 만발한

아름다운 동산에서

내게 준 고귀한 언약

어이하여 잊을까

멀리 떠나간 벗이여

나는 홀로 사모하여

잊지못할 이 곳에서

기다리고 있노라

돌아오라 이곳을

잊지말고

돌아오라 소렌토로

돌아오라

 

향기로운 꽃 만발한

아름다운 동산에서

내게 준 고귀한 언약

어이하여 잊을까

멀리 떠나간 벗이여

나는 홀로 사모하여

잊지못할 이 곳에서

기다리고 있노라

돌아오라 이곳을

잊지말고

돌아오라 소렌토로

돌아오라

 

https://youtu.be/5vqGVX0RcK0

 

 

 

 

 

▼ 09시47분 멋진소나무 2그루와 돌무더기 .. 439.1봉이다. 왼쪽에 헬기장도 있다

 

▼ 09시52분 오른쪽으로 갈림길은 엄궁동 화엄사로 이어진다

 

▼ 10시04분 닥아오는 승학산 정상 10여분이 면 당도한다

 

▼ 10시09분 승학산 정상 직전에서 지나온능선

 

▼ 10시10분 승학산 정상 직전에서 뒤돌아본 풍경

 

▼ 10시10분 승학산 정상 직전에서 뒤돌아본 낙동강과 학장동 삼락동 풍경

 

▼ 11시11분 승학산 497m 정상에 올라선다 

 

▼ 10시12분 승학산 497m 정상표석

 

승학산(乘鶴山)은 고려 말 승려 무학이 전국을 다니면서 산세를 살피다가 이곳에 이르러 산세를 보니 마치 학이 날아오르는 듯하다고 하여 승학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승학산은 북동쪽으로 구덕산을 지나 엄광산에 이어지고 남서쪽으로 동매산[210.4m]을 지나 몰운대로 연결된다. 전형적인 노년 산지이나 산정은 예리한 원추형을 나타내고 동쪽과 서쪽 산록이 비교적 경사가 급하다. 주봉에서 북쪽과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곳곳에 안산암질의 기반암으로 이루어진 토르(Tor)[지하의 암괴덩어리가 오랜 풍화 작용으로 동글동글한 돌인 핵석을 만들게 되고, 이후 오랜 침식으로 주변의 층이 제거되며 핵석이 높게 쌓여 돌탑처럼 드러나게 되는 지형]와 타포니(Tafoni)[암벽에 마치 벌집처럼 구멍이 파여 있는 지형]가 있다. 산지의 북쪽 사면에는 침식 평탄면이 형성되어, 억새가 군락을 이루는 고산 습원이 자리하고 있다.

 

승학산의 해발 고도는 497m로 부산광역시 사하구와 사상구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세계적인 철새 서식지 및 도래지인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와 낙동강 삼각주 지형 및 경관을 조망할 수 있으며, 정상 부근에는 수만 평에 이르는 억새밭이 펼쳐져 있다. 주변에는 동아 대학교 하단캠퍼스와 에덴 공원이 있다.

 

 

▼ 10시13분 승학산 497m 정상에서 ..

 

▼ 추억의 포토 / 2000년9월28일 승학산 정상표석과 김해평야 김해공항

 

▼ 10시13분 승학산 497m 정상표석 2개와 등산객 

 

▼ 10시20분 승학산 정상에서 바라보는 부산시내 풍경 ~~~~~ 정상에서 북쪽 구덕산 부터 오른쪽으로 한바퀴 ..

 

▼ 10시20분 시약산 정상 기상레이더관측소와 몰운대로 흘러가는 낙동정맥 능선 모습

 

▼ 10시20분 낙동정맥 도심구간 모습과 주변 풍경

 

▼ 10시21분 승학산에서 하산할 능선과 가야할 에덴공원 모습

 

▼ 10시21분 에덴공원에서 가야할 을숙도 풍경

 

▼ 10시21분 을숙도 북단과 학장동 삼락생태공원 낙동강 건너 김해시

 

▼ 10시21분 다음 산행예정 초입 학장교차로에서 엄광산으로 올라간 능선 모습

 

▼ 10시14분 승학산 정상에서 동영상으로 바라본 풍경

 

 

 

▼ 10시22분 승학산 497m 정상에서 건국고등학교로 에덴공원으로 이어간다. 에덴공원 정상까지 1시간10분 정도 예상된다

 

▼ 10시26분 하산 능선길 데크전망대

 

▼ 10시26분 데크전망대 전망대에서 바라본 하산능선과 가야할 에덴공원 그리고 한바퀴 돌아야 할 을숙도 모습

 

▼ 10시33분 건국고등학교.정각사 방향으로 하산한다

 

▼ 10시40분 왼쪽은 정각사가는길

 

▼ 10시49분 가야할 에덴공원과 을숙도 풍경

 

▼ 11시00분 능선 하산길

 

▼ 11시06분 삼거리에서 오른쪽 건국고등학교 방향  

 

▼ 11시10분 건국고등학교 옆 주택가 도착하고 실직적인 산행은 여기서 끝나고, 에덴공원 등정과 을숙도 일주을 한다.  쭈욱 내려가다 오른쪽으로 에덴공원으로 찾아간다

 

▼ 11시16분 쭈욱 내리가면 횡단보도 건너 에덴공원으로 진입한다

 

▼ 11시18분 횡단보도 건너 덴공원 진입

 

▼ 11시22분 에덴공원 둘레길은 생략하고 정상으로 올라간다

 

▼ 11시25분 에덴공원 작은봉우리 체력단련장

 

▼ 11시30분 안부 이정표 / 청마 유치환 시비 방향 ..

 

 

♬ 음악 동영상 / 무너진 사랑탑

https://youtu.be/f90HOh-VnL4

무너진 사랑탑

                  아티스트 남인수

 

반짝이는 별빛 아래 소곤소곤

소곤대는 그날 밤

천 년을 두고 변치 말자고

댕기 풀어 맹세한 님아

사나이 목숨 걸고 바친 순정

모질게도 밟아놓고

그대는 지금 어디

단꿈을 꾸고 있나

야속한 님아

무너진 사랑탑아

 

달이 잠긴 은물결이 살랑살랑

살랑대는 그날 밤

손가락 걸며 이별 말자고

울며불며 맹세한 님아

사나이 벌판 같은 가슴에다

모닥불을 질러놓고

그대는 지금 어디

행복에 잠겨 있나

야멸찬 님아

깨어진 거문고야

 

봄바람에 실버들이 하늘하늘

하늘대는 그날 밤

세상 끝까지 같이 가자고

눈을 감고 맹세한 님아

사나이 불을 뿜는 그 순정을

갈기갈기 찢어놓고

그대는 지금 어디

사랑에 취해 있나

못 믿을 님아

꺾어진 장미화야

 

https://youtu.be/NTLZm9PaDRg

 

 

 

 

 

▼ 11시33분 에덴공원 정상 고도측정 49m

 

에덴공원

 

1953년 7월 부산중앙교회의 백준호 장로가 이곳을 매입하여 사설 공원(私設公園)을 조성하였다. 1956년 『구약 성서』 창세기 편에 나오는 ‘에덴동산’의 명칭을 따서 에덴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장하였으나 자연스럽게 에덴 공원으로 불리게 되었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4호로 지정되기도 하였으나, 1978년 11월 3일 해제되었다.

 

에덴 공원은 승학산 서쪽 낙동강변에 위치한 도심 속의 산책 공원으로, 면적은 9만 9174㎡이다. 1974년에 건립한 청마 유치환 깃발 시비(詩碑)를 비롯하여 솔바람 음악당, 산책로, 체육 시설, 부산 시민 헌장비 등이 있다.

 

에덴 공원은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786-1번지에 있다. 본래 승학산 꼭대기에서 학을 타고 날아오른 신선이 이곳으로 내려왔다고 하여 ‘강선대(降仙臺)’라고 불리던 명승지로, 다대포의 몰운대와 함께 팔선대(八仙臺) 중의 하나로 꼽혔던 곳이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에덴 공원 정상에 일본군 포병 부대가 해안 포대를 설치하여 주둔한 적이 있었으며,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2015년까지 서부산권의 관광·문화 거점으로 만들려던 에덴 공원 개발 계획이 있었으나 부지 대부분이 사유지이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원은 24시간 이용이 가능하며, 주변에는 철새 도래지로 유명한 을숙도가 있고 그 안에 을숙도 생태 공원, 낙동강 하구 에코 센터, 을숙도 공원 등이 있다.

 

 

▼ 11시37분 에덴공원의 청마 유치환 시비 / 깃발

 

▼ 11시39분 에덴공원에서 하산길 을숙도 방향으로 .. 을숙도 진입는 30여분 소요된다

 

▼ 11시42분 에덴공원 산책로에서 을숙도 방향으로 하산

 

▼ 11시43분 에덴공원에서 벗어나 을숙도 이어간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무소”는 코뿔소를 뜻하는 말. 코뿔소는 무리를 짓지 않고 홀로 살아가는 습성이 있는데 고대의 수도승들도 걸식을 하면서 홀로 수행하여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했다고 한다. 이처럼 깨달음의 길은 혼자서 가는 길이기에 무소의 뿔이 한곳을 향하듯이 혼자서 가라고 한 것이다.

 

如獅子聲不驚 사자처럼 소리에 놀라지 말고

如風不繫於網 바람처럼 그물에 걸리지 말고

如蓮花不染塵 연꽃처럼 진흙에 물들지 말고

如犀角獨步行 무소의 뿔처럼 혼자 걸어가라

 

- <수타니파타(Sutta_nipāta)> 중에서..

 

 

 

▼ 11시48분 횡단보다 건너 왼쪽으로 낙동강하구둑으로 이어간다

 

▼ 11시52분 하구둑교차로에서 지하통로 통과 낙동강하구둑으로 올라간다

 

▼ 11시54분 낙동강 하구둑 15분 정도면 건너간다  

 

▼ 12시01분 낙동강하구둑 차도와 자전거도로 인도

 

▼ 12시06분 여기서 을숙도 한바퀴 일주 한다. 소요시간은 3시간10분 정도 걸린다

 

▼ 12시07분 을숙도 하구둑전망대와 문화회관 휴게소 등등 / 코나로 19로 관람시설은 무두 패쇄 되었다

 

을숙도(乙淑島)는 고지도나 일제 강점기 초기 지도에서 섬의 형태가 묘사되고 있으나, 지명은 수록되어 있지 않다. 1950년대 제작된 지형도에서는 하단도(下端島)로 표기되어 섬의 형태가 정확히 그려져 있으며, 1960년대 이후의 지도에서는 을숙도라는 지명이 기재되어 1961년 지명 정비 때 ‘을숙’이 고시된 것으로 보인다.

 

을숙도는 새[乙]가 많이 살고 물이 맑은[淑] 섬이라 하여 붙은 지명으로 전해지나 확실한 것은 아니다.

 

을숙도는 낙동강 하구를 잇는 하중도(河中島)로 낙동강이 운반해 온 토사의 퇴적에 의하여 형성된 모래섬이다. 낙동강 하구 쪽으로 향하여 길게 형성된 을숙도는 중앙부가 넓고 북단과 남단부가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다. 북단에는 좁은 수로를 사이에 두고 일웅도(日雄島)가 있으며, 남단에는 크고 작은 모래톱인 사주(砂洲)가 형성되어 있고 미세한 토사로 이루어져 있다. 해발 1m 이하의 평지로 수로가 미로처럼 뻗어 있으며, 이 수로를 따라 높이 2~3m의 갈대가 생육한다.

 

갈대와 수초가 무성하고 어패류가 풍부하여 한때는 동양 제1의 철새 도래지로 알려졌다. 특히 겨울철 철새가 군무를 이루며 비상하는 모습은 일대 장관을 이룬다. 철새는 총 138종에 10만여 마리가 서식한다. 이 중에 천연기념물인 황새, 저어새, 재두루미, 느시 등 희귀종도 있으며, 오리과에 속하는 것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갈매기과, 농병아리과, 아비과, 매과, 수리과, 멧과 등도 개체 수가 많은 편이다. 철새의 대부분은 겨울새이나 여름철에 찾아드는 여름새와 봄·가을철 잠시 쉬다가 떠나는 나그네새도 있다.

 

1987년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 일대는 매우 빠른 지형·수문·생물 등 자연환경에 변화가 나타났으며, 훼손이 발생하자 2005년에 을숙도 생태 공원이 조성되었다. 생태 공원 조성 후 갈대가 급속하게 확산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갈대의 확산은 육역화(陸域化)를 초래하여 습지 생태계를 훼손할 것으로 우려된다. 을숙도의 동쪽으로는 웅봉[234m]에서 남쪽으로 뻗은 산등성이가 다대만과 낙동강 하구 만입 사이에 몰운 반도로 돌출하였고 반도 선단에는 사주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인 몰운섬이 보인다. 서쪽으로는 낙동강 삼각주의 최남단인 명지도(鳴旨島)가 보인다.

 

 

 

▼ 12시11분 을숙도 하구둑전망대에서 북쪽으로 시작하여 을숙도생태공원 한바퀴 돈다. 을숙도에서 바라보는 승학산 모습

 

▼ 12시15분 을숙도생태공원 북쪽 끝으로 진행한다

 

▼ 12시22분 을숙도 자전거

 

▼ 12시27분 을숙도생태공원 안내판

 

▼ 12시28분 을숙도에서 승학산 엄광산 자락과 백양산그리고 금정산

 

 

♬ 음악 동영상 / 물새 한마리

https://youtu.be/Q5ktxrGrVfI

물새 한마리

                       아티스트 하춘하

 

1. 외로이 흐느끼며 혼자 서있는

싸늘한 호숫가에 물새 한마리

짝을 지어 놀던 님은

어디로 떠났기에 외로이 서서

머나먼 저 하늘만 바라보고 울고 있나

아~아아아아아아아아~못난 님은 못난 님은 못오는데~

 

2. 갈 곳이 없어서 홀로 서있나

날저문 호숫가에 물새 한마리

다정하게 놀던 님은 간 곳이 어디기에

눈물지으며 어두운 먼 하늘만 지켜보고 있을까요

아~아아아아아아아아~ 기다렸던

기다려도 안오는데~

 

 

 

 

 

▼ 12시29분 을숙도 북단 전망대

 

▼ 12시33분 을숙도 북쪽 끝에서 오른쪽 남쪽 방향으로 내려간다

 

▼ 12시33분 을숙도에서 낙동정맥 능선과 신어산

 

▼ 12시36분 을숙도에서 낙동강 넘어 봉화산 보배산은 봉화산에 가려 보이질 않고 .. 불모산 상점고개 용지봉 ..

 

▼ 12시46분 을숙도 내부 호수형습지

 

▼ 12시51분 을숙도생태공원 산책로

 

▼ 12시54분 을숙도 낙조정

 

▼ 13시00분 낙조정

 

▼ 13시03분 을숙도 남북으로 이어주는 고가도로

 

▼ 13시05분 을숙도 고가도로에서 바라본 승학산 백양산 금정산

 

▼ 13시06분 을숙도 고가도로에서 가야할 을숙도대교 남단 방향

 

▼ 13시11분 을숙도 이정표

 

▼ 13시14분 을숙도 피크닉광장 인파

 

▼ 13시19분 을숙도 이정표 / 낙동강하구에코센터로 진행한다

 

▼ 13시22분 낙동강하구에코센터

 

▼ 13시27분 낙동강하구에코센터에서 휴식하면서 ..

▼ 13시30분 을숙도 기수습지

 

▼ 13시33분 남단으로 이어지는 도로

 

▼ 13시37분 도로에서 오른쪽 을숙도 철새도래지로 들어간다

 

▼ 13시40분 철새도래지 낙동강하구탐방로

 

▼ 13시41분 낙동강하구탐방로 이정표

 

▼ 13시43분 지나온 에코센터와 을숙도 북단

 

▼ 13시43분 김해공항으로 착륙하는 항공기

 

▼ 13시44분 을숙도에서 조망 / 김해공항으로 착륙하는 항공기 모습

 

▼ 13시53분 낙동강하구생태탐방로

 

▼ 13시59분 을숙도 낙동강하구생태탐방로에서 승학산 구덕산 시약산

 

▼ 14시01분 을숙도대교와 명지국제신도시

 

 

♬ 음악 동영상 / 막걸리 한잔

https://youtu.be/n3Zacj5dKBI

막걸리 한잔

                  아티스트 영탁

 

막걸리 한 잔

온 동네 소문 났던 천덕꾸러기

막내아들 장가가던 날

앓던 이가 빠졌다며 덩실 더덩실

춤을 추던 우리 아버지

아버지 우리 아들 많이 컸지요

인물은 그래도 내가 낫지요

고사리 손으로

따라주는 막걸리 한잔

아버지 생각나네

황소처럼 일만 하셔도

살림살이는 마냥 그 자리

우리 엄마 고생시키는

아버지 원망했어요

아빠처럼 살긴 싫다며

가슴에 대못을 박던

못난 아들을 달래주시며

따라주던 막걸리 한잔

따라주던 막걸리 한잔

 

황소처럼 일만 하셔도

살림살이는 마냥 그 자리

우리 엄마 고생시키는

아버지 원망했어요

아빠처럼 살긴 싫다며

가슴에 대못을 박던

못난 아들을 달래주시며

따라주던 막걸리 한잔

따라주던 막걸리 막걸리 한잔

 

https://youtu.be/ZMi6k7Qw4Z4

 

 

 

 

 

▼ 14시09분 을숙도대고 밑에서 시원하게 휴식 ..

 

▼ 14시11분 탐방로을 따라 을숙도 남단으로 이어간다

 

▼ 14시16분 을숙도 남단에서 낙동강하구와 가덕도

 

▼ 14시17분을숙도 남단 조류관찰소

 

▼ 12시18분 을숙도 남단에서 낙동강 모래톱

 

▼ 14시19분 을숙도 남단조류관찰소

 

▼ 14시25분 낙동강하구탐방체험장

 

▼ 14시26분 을숙도 남단에서 거제도와 가덕도

 

▼ 14시27분 을숙도 남단에서 다대동과 몰운대

 

▼ 14시27분 을숙도 남단에서 아미산과 을숙도대교

 

▼ 14시33분 을숙도대교 밑을 통과하여 40여분이면 을숙도버스정류장에 도착하여 오늘의 산행이 마무리 된다

 

 

▼ 14시38분 을숙도 남단 도로변에서 낙동강하구둑 모습

 

▼ 14시42분 을숙도 남단 도로와 주차장

 

▼ 14시44분 을숙도 쓰레기매립장 생태복원지

 

▼ 14시58분 을숙도 갈대밭

 

▼ 15시01분 에코센터갈림길

 

▼ 15시09분 을숙도(문화회관) 버스정류장에서 산행거리 23.0km<Map 21.7km> 8시간14분 산행을 종료한다

 

 

 

▼ GARMIN GPS 트립콤퓨터 데이터 산행거리 23.0km

 

▼ Oruzmaps 트랙통계 산행거리 20.22km

 

▼ 부산 구덕산 시약산 승학산 에덴공원 을숙도 Oruxmaps / 클릭확대

 

▼ 부산 승학산 억새능선 산행지도

 

▼ 부산 승학산 구덕산 산행지도 / 클릭확대

 부산 승학산 야간산행 / 동영상https://youtu.be/g-qyQjpbLio

 

 

 

 

▼ 부산 승학산 산행지도 / 클릭확대

 부산 승학산 / 동영상https://youtu.be/pIWLJev8rIA

 

 

 

▼ 부산 백양산 엄광산 구덕산 승학산 5만 지도 / 클릭확대

 

▼ 부산 구덕산 시약산 승학산 에덴공원 을숙도 5만 지도 / 클릭확대

 

 

 

 

7. 차량이동(올 때);

♤15:18 을숙도(문화회관)버스정류장→168번 시내버스→학장동→15:58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버스정류장→87번 시내버스(환승)→16:30 자택도착

♤차량이동시간; 1시간12분

♤차량왕복이동거리; 약 21.3km

 

8. 경비;

♧부산시내버스 2,400원

 

9. 특기사항

 

10. 작성일자; 2020년9월21일(월) 16시50분 자택에서.........

11. 작성자; *********************1659-20-23****************** 도시속의 野人 海廣